[4·27재보선 후폭풍]
야권, 4.27 재보선 거치며 새 진로 놓고 고민
민주당, 모든 야당 하나로 ‘대통합론’ 주장
민노당·진보신당 ‘진보 통합뒤 연대론’ 맞서
야권, 4.27 재보선 거치며 새 진로 놓고 고민
민주당, 모든 야당 하나로 ‘대통합론’ 주장
민노당·진보신당 ‘진보 통합뒤 연대론’ 맞서
지난해 6·2지방선거에서 첫걸음을 뗀 ‘야권연대’는 이번 4·27 재보선을 거치며 또다른 화두를 던졌다. 국민참여당의 김해을 패배에서 드러나듯, 숙성하지 않은 단순연대는 승리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진로를 놓고 ‘연대를 넘어 모든 야당이 한데 합쳐야 한다’는 범개혁진영 통합론과, ‘계열별 통합’을 거쳐 보수-개혁-진보의 3강 구도를 구축한 뒤 진정성 있는 연대를 하자는 주장이 엇갈린다.
통합론은 주로 민주당에서 나온다. 이낙연 사무총장은 “순천에서 공천을 하지 않으면서 생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겪고, 김해을에서 국민참여당과 지루한 협상을 거치면서 민주당 안에는 지금 같은 단일화 방식엔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많다”며 “통합론이 나오는 건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민주당 내 통합론의 배경엔 서로 결이 다른 생각들이 깔려 있다. 첫째, 연대 얘기가 나오면 항상 ‘기득권 양보’라는 주문을 받는 호남 지역 통합론이다. 이번 재보선 같은 야권연대는 더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전남의 한 중진 의원은 “순천에서 괜찮은 민주당 후보들이 연대라는 이유로 공천을 받지 못하는 불합리한 상황이 벌어졌다”며 “모두 한울타리에 들어와 공정하게 경쟁하는 방식이 낫다”고 말했다. 야권연대 때문에 자신들의 지역구를 내줄 수도 있다는 위기감을 반영한 얘기다.
둘째, 이번 재보선에서 야권연대 판을 주도한 이들은 범개혁·진보진영을 한데 묶되 각 정파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진보적 가치를 확대·심화시키자고 주장한다. 당내 ‘연대·연합특위’위원장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이번에 우리가 야권연대를 큰 틀에서 짠 것은 통합이라는 목표를 향해 진정성과 신뢰를 얻기 위한 것이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통합의 파트너인 다른 야당들은 생각이 다르다. 참여당은 민주당과 합칠 생각이 별로 없어 보인다. 참여당 핵심 당직자는 “외부의 통합 논의가 거세지면 우리처럼 규모가 작은 당은 오히려 안으로 더 움츠러들고 똘똘 뭉칠 가능성이 크다”며 “당분간 독자행보를 하면서 숨고르기를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에선 이참에 좀더 통합 논의가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29일 열리는‘진보대통합 연석회의’ 제3차 대표자회의에선 구체적인 통합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두 당에선 친노 핵심인 문성근씨가 이끄는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이 주장하는 것처럼 민주당·참여당과 모두 함께 단일정당을 만드는 것은 어렵다는 의견이 대세다. 우위영 민노당 대변인은 “두 당 통합은 진보정당의 운명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지만 모든 야당이 하나로 뭉치라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지금까지의 야권연대 성과를 축적해 비판할 때는 비판하고 협력할 때는 협력하면서 선거 때는 후보 단일화를 이루면 된다”고 말했다. 진보신당의 한 당직자도 “지금 모든 야당들이 합치면 진보세력이 민주당에 다 먹힌다”고 말했다.
야권연대의 한 배에 올라탄 야당들 제각각 ‘동상이몽’이지만 어떤 방식으로든 내년 총선·대선에서 한나라당과 1대1 구도로 맞붙어야 한다는 데는 동의한다. 천정배 민주당 최고위원은 “만약 통합이 성사가 안된다면 각자 갈 길은 가면서도 연대는 끝까지 모색해야 한다”며 “될수록 초기에 정치협상을 통해서 각 정파별로 기회를 주는 등의 잠정 조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