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진보신당 합당 추진에
야권연대라는 큰 설계도 안에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두 당이 먼저 한 집을 짓는 작업에 착수했지만 이를 바라보는 민주당·국민참여당의 머릿속은 복잡하다. 야권 전체를 묶는 연대 또는 통합이라는 명분은 인정하지만, 그를 위한 구체적 경로가 가닥 잡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통합진보정당이 출범할 경우 협상 창구가 단일화된다는 점은 민주당에 긍정적 요인이다. 민노당과 진보신당을 상대로 각각 협상하는 것보다 간명해지기 때문이다.
통합 진보정당과 통합해 한집에 살 것이냐, 아니면 연대하는 이웃으로 남을 것이냐를 둘러싼 논란도 민주당에 현실적 고민으로 다가왔다.
민주당 내부를 살펴보면 방향을 잡지 못한 채 갈팡질팡하는 상황이다. 지도부는 야권통합이라는‘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 대부분의 의원은 통합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연대에 방점을 찍고 있다. 지난 31일 민주당 워크숍에서도 호남 의원들을 중심으로 당 지도부의 통합 논의에 대한 반론이 쏟아졌다. 김동철 의원은 “혈액형이 A형, B형, 0형, AB형 서로 다른데 한몸에 다 수혈하면 사망할 수밖에 없다”며 “통합 이후 안정되고 조화로운 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만, 이인영 최고위원은 이후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부부가 서로 혈액이 달라도 잘 살 수 있는 거 아니냐”며 “총선 승리를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필요하고 민주당과의 이해관계를 따져볼 때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참여당도 고민이 깊어졌다. 민노당과의 선통합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참여당과의 합당에 부정적 기류가 강한 진보신당까지 상대해야 한다는 점도 부담이다. 참여당으로선 통합 진보정당이 출범할 때까지 통합 논의에 제동이 걸린다는 점도 답답한 부분이다. 참여당의 핵심 당직자는 “우리는‘진보정치 대통합과 새로운 진보정당 건설을 위한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에 참석하고 싶다는 뜻을 보내놓았으니 통합을 합의한 진보정당들이 이에 대한 입장을 표명할 때까지 조용히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