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규 전 중수부장(왼쪽), 문재인 변호사.
‘운명’ 책 계기로 수사 재논란
2009년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로 막을 내렸던 검찰의 ‘박연차 게이트’ 수사가 2년여 만에 다시 입길에 오르내리고 있다. 당시 수사를 맡았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는 그 사건을 계기로 여론의 호된 비판을 받으며 ‘수사권 폐지’의 위기에 몰렸으나, 최근 청와대의 지원으로 기사회생했다.
노 전 대통령 수사에 대한 논란은 지난 14일 발간된 ‘문재인의 운명’이라는 책에서 당시 상황이 다시 언급되면서 불거졌다. 노무현재단 이사장인 문재인 변호사는 이 책에 당시 상황에 대해 “(권양숙 씨가 돈을 받은 사실을 노 전 대통령이 알고 있었을 것이라는) 박 회장 말이 진실이라고 뒷받침할 증거를 검찰이 갖고 있지 않았다”며 “당시 이인규 중수부장의 태도엔 오만함과 거만함이 가득 묻어 있었고, (박연차 회장과) 대질을 하겠다는 건 대단한 무례였다”고 썼다.
이에 대해 이인규 전 중수부장은 16일치 <동아일보> 인터뷰를 통해 “노 대통령에 대해서는 예우를 다했다. 그리고 증거도 없이 어떻게 전직 대통령을 소환조사 할 수 있었겠느냐. 무수한 증거가 수사기록에 많이 남아 있으니, 그렇게 자신 있으면 수사기록을 공개하면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또 “15시간여에 걸친 조사가 전부 영상으로 녹화돼 있는데 마음 같아서는 다큐멘터리를 틀 듯 다 틀었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인규 전 부장의 발언이 보도되자 이날 문 변호사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중요한 쟁점은 노 대통령이 사전에 인지했는지에 대한 것인데, 검찰은 이에 대해 정보가 없었다”며 거듭 검찰의 증거 부족을 지적했다. 이어 “그의 오만한 태도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 그분은 겸손이란 데 대해서 배우지 못한 것 같다. 이는 공직자의 도리도 아니고 수사한 사람이 취할 태도도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반면, 이 전 중수부장은 이날 <한겨레>와 통화에서 “박 회장이 (노 전 대통령이 인지하고 있다고) 믿을 만한 진술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그는 ‘겸손을 모르는 것 같다’는 문 변호사의 지적을 두고는 “제가 부족한 점이 많으니 앞으로 살아가는 데 참고하겠다”고 말했다.
석진환 김태규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자료사진
<한겨레 인기기사>
■ 재벌총수에 석달째 바람맞은 공정위원장
■ 오세훈시장의 182억짜리 ‘몽니’
■ 파업노조원 학대 ‘막장 구미KEC’
■ 정치적 민감사안 ‘꿀먹은 헌재’
■ 아프간 카불서 39는 저주의 숫자?
■ 서울대, 소득 하위50% 학생에 전액장학금
■ 손석희씨 ‘V3 백신 닮은 사람’
■ 오세훈시장의 182억짜리 ‘몽니’
■ 파업노조원 학대 ‘막장 구미KEC’
■ 정치적 민감사안 ‘꿀먹은 헌재’
■ 아프간 카불서 39는 저주의 숫자?
■ 서울대, 소득 하위50% 학생에 전액장학금
■ 손석희씨 ‘V3 백신 닮은 사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