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가운데)이 24일 오전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손학규 대표(오른쪽 둘째)에게 영수회담 의제로 한진중공업, 유성기업 사태 등 노동문제를 제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손학규 대표 “대기업들 고용증진 역할 했나”
정동영 최고 “재벌 발언은 헌법정신 뭉갠 것”
정동영 최고 “재벌 발언은 헌법정신 뭉갠 것”
전경련·경총·대한상의 등 기업단체 대표들이 정치권의 반값등록금·감세철회 움직임을 ‘포퓰리즘’이라고 연일 비판하고 나서자, 야권은 23일 “재벌세금 깎아주는 것이 더 즉흥적 포퓰리즘”이라고 반격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에서 “대기업들은 지난 3년동안 투자증가에 비해 고용증가에 얼마나 할 일을 했는지 묻고 싶다”며 “복지시설에 조금 기부한다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게 아니다. 양극화 해소의 주체, 국가적 과제의 해결 당사자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동영 최고위원도 “헌법 23조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명기하고 있는데 최근 재벌들의 발언은 헌법정신을 깔아뭉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최고위원은 최근 한진중공업·유성기업 사태를 거론하며 “(이명박 대통령은) 민주당 대표와의 영수회담에서 노동문제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혀야 한다. 만일 이 대통령이 이에 대해 입장이 없다면 손 대표가 의제로 강력히 제기해달라”고 말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이날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오찬에서 “최근 정책결정에서 순수하고 분명한 원칙이 있는지 의문”이라고 한 발언도 야권을 자극했다.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은 “오늘날 재벌이 있기까지 얼마나 많은 서민이 피땀을 흘렸느냐. 자중자애하라”고 논평했다. 우위영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허 회장이 정부 경제수장에게 이래라저래라 하는 태도는 대한민국은 재벌공화국, 자신들은 국민의 상전이라고 생각하는 오만”이라고 꼬집었다. 박은지 진보신당 부대변인도 “허 회장은 무한 시장경제의 폭주기관차에 국민 운명을 맡기는 것이 그토록‘순수’하고 ‘분명’한 원칙이라고 생각하는 거냐”고 비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