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전 총리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준비하는 범야권의 시선이 한명숙(사진) 전 총리에게 쏠리고 있다. 그의 출마 여부에 따라 야권의 후보 선출 구도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전 총리가 출마 결심을 굳힐 경우 당내 후보군 가운데 몇 명은 출마 뜻을 접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주소지를 경기도 부천에서 서울로 옮기는 등 출마를 검토중인 원혜영 의원은 “한 전 총리가 출마하면 나는 나서지 않고 돕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박영선 의원도 한 전 총리가 나서면 경선에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게 박 의원 주변의 얘기다. 출마를 적극 검토 중인 박원순 변호사도 한 전 총리와의 경선은 피하고 싶어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 전 총리의 측근들과 친노 진영 인사들은 “정권교체를 위해 당장 서울시장 선거 승리가 절박하다”며 한 전 총리의 출마를 설득중이다. 측근들은 한 전 총리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서울시장 야권 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점을 들어 본선 경쟁력을 강조한다. 지난해 지방선거 때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에게 패한 데 대해선 노회찬 진보신당 후보의 출마 등 야권의 분열 때문이라고 말한다.
문제는 한 전 총리 대한 재판 변수다.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돼 진행중인 1심의 선고 공판은 10월 중순께나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10·26재보선 직전의 시점이다. 당 안에선 최악의 시나리오도 염두에 둬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있다. 그러나 한 전 총리 쪽은 단호하다. 한 총리 쪽 인사는 “재판은 무죄를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 변수가 아니다”며 “우물에서 숭늉을 찾을 수 없듯이, 한 총리가 당분간 차분하게 생각을 정리할 시간이 필요할 뿐”이라고 말했다.
한 전 총리 본인의 출마 의사는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한나라당 후보 논의 과정을 지켜보며 가능하면 결정의 시기를 최대한 늦추지 않겠느냐는 게 당내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당 안에선 “촉박한 선거 일정을 감안해 한 전 총리가 될 수 있으면 빨리 결심을 해줘야 하지 않겠냐”는 얘기가 나온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