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중심 구성에 반발
야권연대 시작부터 삐걱
야권연대 시작부터 삐걱
민주노동당이 박원순 야권단일후보의 선거대책위원회 구성에서 사실상 빠지기로 결정했다.
민주노동당은 10일 오전 최고위원회를 열어 ‘상호 존중과 호혜라는 야권연대 정신에 부합하지 않는 선대위 구성을 수용하기 어려워, 박 후보 선대위의 선거대책위원장 및 선거대책본부장 등을 맡지 않는다’는 입장을 정했다. ‘최규엽 민노당 후보가 공동선대본부장을 맡는다’는 야권통합경선 당시의 합의도 깨졌다. 다만 민노당은 ‘일하는 사람들의 선본’을 따로 꾸려 각 지역에서 박 후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민노당 관계자는 “민주당 중심으로 선본을 꾸린 뒤 공동선대위를 꾸리자고 통보하는 것은 공당에 대한 예의도 아니고 공동선대위 구성 정신에도 어긋난다”고 최고위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11일 선대위 공식 발족을 앞두고 있는 박 후보 쪽은 야권 연대의 핵심 당사자 가운데 하나인 민노당의 불참 선언에 곤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선대위 구성 자체가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야권통합·연대의 시험대인데, 출발부터 그간 우려했던 갈등과 진통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시민사회의 원로 인사가 직접 나서 이정희 민노당 대표 설득에 나섰으나 마음을 돌리지 못했다.
박 후보는 이날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 민노당을 설득해달라”고 참모들에게 주문했다. 박 후보 쪽의 핵심 관계자는 “민주당 중심으로 선대위를 구성할 수밖에 없는 사정을 설명하고, 미리 협의를 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의 뜻을 전달했다”며 “선대위 출범 이후라도 민노당이 참여해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노당을 제외한 창조한국당과 진보신당과 국민참여당, 진보신당을 탈당한 ‘통합연대’ 등은 모두 공동선대위원장과, 선대본부장 등에 이름을 올리고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들 역시 민주당 중심의 구성에는 불만을 숨기지 않고 있다. 김종철 진보신당 대변인은 이날 “박 후보가 민주당의 협력을 끌어내기 위해 민주당의 주도적 노력을 부탁한 것을 계기로 민주당이 다른 야당 및 시민사회를 소외시킨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박 후보의 선대위 조직 구성과 별개로 각 구별 연락사무소 개설과 책임자 선정을 두고도 시민사회와 민주당 및 다른 야당 사이에 갈등이 불거지고 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