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 야권 단일후보(앞줄 가운데)가 14일 오후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왼쪽 둘째)와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경동시장을 찾아 시민들에게 악수하며 인사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박원순 서울시장 야권 단일후보는 14일 서울시사회복지단체연대회의·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등이 공동 주최한 10·26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후보자 초청 사회복지정책 토론회에 참석해 “서울시는 서울만의 복지 개념 없이 대부분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사업의 매칭을 받고 있다”며 “중앙정부와 협력하면서도 서울만의 복지 비전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는 서울만의 복지 비전을 만들기 위한 방안으로 ‘서울시민 생활최저선’ 기준 도입과 ‘인덱스(지수)’를 강조했다. 그는 “주거·보육·교육·환경 등 4대 분야에 생활 최저선을 확보해 어느 지역에 살아도 같은 수준의 삶의 질을 누리도록 하겠다”며 “서울시민 삶의 모든 부분을 지수로 만들어 매년 시민들에게 보고하고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박 후보는 ‘전체 예산 대비 21.4% 수준인 서울시 복지 예산을 매년 3%씩 늘려 2014년 기준 30%까지 만들겠다’는 공약과 관련해, “투융자심사를 거쳤지만 아직 예산이 잡히지 않은 사업 가운데 전임 시장이 벌여놓은 수천억원대의 하드웨어 사업이 많다”며 “전문가·시민 등이 참여한 사업조정위원회를 통해 사업들을 정리하겠다”고 답했다.
나경원 한나라당 후보도 이날 토론회에 참석 요청을 받았으나 단체들이 주관하는 토론회에 일일이 참석하기 어렵다며 참석하지 않았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