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후보 정책 검증] ⑥ 여성·노인 공약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고령층과 여성 유권자의 마음을 붙잡기 위한 복지 공약 경쟁도 치열하다. 나경원 한나라당 후보의 공약이 전임 시장의 정책을 계승·확대는 동시에 ‘생활공감’형 정책을 표방한다면, 박원순 야권 단일후보는 전통적인 마을공동체의 기능을 되살려 가정의 부담을 줄이는 등 새로운 해법이 필요하다는 쪽이다.
첫 여성시장을 꿈꾸는 나 후보는 여성과 노인이 양육에 참여하는 육아 품앗이를 통해 일자리와 복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유명무실한 유연근무제를 정착시키기 위해 ‘서울형 가족친화기업 인증제’를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소득 하위 70% 가정의 산모가 시립병원에서 아이를 낳을 경우 출산비용을 지원하고 미혼모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비용을 마련해 직업 교육을 제공하는 등 취약계층 여성에 대한 복지 확대도 강조하고 있다.
노인정책에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사업을 대부분 이어갈 방침이다. 노인복지복합시설 ‘어르신행복타운’을 시범적으로 1곳 조성하고 치매노인을 돌보는 데이케어센터는 임기중 300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박 후보는 여성, 노인들이 교육, 육아, 요리 등 재능을 기부해 함께 아이를 기르는 ‘마더센터’와 ‘공동체돌봄센터’를 임기 중에 자치구별로 1곳씩 만들어 지원할 계획이다. 10~20대 여성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지원, 30대 여성암 조기검진 지원 등 생애주기별로 여성 건강을 지원하는 공약도 눈에 띈다. 아울러 박 후보는 여성가구주가 남성가구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거가 불안정한 점을 들며 한부모·미혼모 여성가구주에게 보증금 융자와 월세 보증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노인들에게 소득·건강·주거 세 가지를 보장하겠다고 밝힌 박 후보는 고령층 전용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기초생활수급 대상이 아닌 빈곤층 노인들을 위한 생계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엄지원 기자 umki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