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탈당파, 합의안 재협상 요구
민노·참여당 거부…통합선언 못해
민노·참여당 거부…통합선언 못해
전태일 열사 41주기를 맞아 13일 열린 노동자대회에 맞춰 추진됐던 진보정치세력의 ‘통합 선언’이 성사되지 못했다.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탈당파인 통합연대는 지난 10일 실무협상을 통해 ‘3자 원샷 통합’을 위한 합의안을 마련하는 등 통합 선언을 눈앞에 둔 듯했으나, 11일 통합연대가 합의안에 대한 추가협상을 요구하면서 통합 논의가 난항을 겪었다. 노동자대회가 열린 13일까지도 민노당과 참여당은 ‘기존 합의안에 대한 추가 협상은 없다’는 입장을 유지했고, 통합연대 역시 기존 협상안에 대한 수용 또는 파기 여부에 대해 이날까지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지난 9월 ‘진보신당과 민노당’, ‘민노당과 국민참여당’ 합당안이 차례로 무산된 바 있는데, 11월 들어 이들 3자가 새롭게 추진한 ‘진보통합 2라운드’도 위기를 맞은 셈이다.
애초 2라운드의 ‘3자 원샷’ 방식은 노회찬, 심상정, 조승수 전 진보신당 대표 등 진보신당 내 통합파들이 통합연대를 만들어 합류했다는 점 때문에 ‘1라운드’ 때보다 쉽게 합의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10일 마련된 합의안 작성 때도 큰 진통은 없었다. 하지만 통합연대가 ‘비례대표 외부 개방 비율’과 ‘지역구 출마자 선출 방식’ 등에 대한 추가 협상을 요구하면서 일정이 꼬였다. 이는 노, 심, 조 전 대표 등 통합연대 내부 구성원들 사이에 이 문제에 대한 의견 조율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심 전 대표 등이 이정희 민노당 대표 등을 만나 추가 논의 일정 등을 협의했으나, 이 대표가 애초 정한 시한 등이 지났다는 이유 등으로 추가 논의가 어렵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동당 관계자는 “통합연대의 거부로 지난 10일 마련된 합의안은 사실상 폐기된 것으로 보고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할 상황인 것 같다”고 말했다. 참여당은 12일 상임중앙위원회에서 ‘민노당과 통합연대가 합의점을 도출하면 그 역시 검토해볼 수 있다’며 마지막까지 ‘3자 원샷 통합’의 가능성을 열어뒀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노숙인 야구방망이로 위협해…‘소설 같은 조서’로 거리서 ‘범인 만든’ 경찰
■ 한진중 사태 해결 바라보는 쌍용차 해고자들은…
■ 한-미 FTA를 보는 한 경제학자의 우려
■ 전여옥 “벼락맞아죽겠다고 생각해도 FTA통과시켜야”
■ 수험생, 깎아줄테니 고쳐라? ‘수능성형’ 이벤트 눈살
■ 한진중 사태 해결 바라보는 쌍용차 해고자들은…
■ 한-미 FTA를 보는 한 경제학자의 우려
■ 전여옥 “벼락맞아죽겠다고 생각해도 FTA통과시켜야”
■ 수험생, 깎아줄테니 고쳐라? ‘수능성형’ 이벤트 눈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