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전 원내대표
통합정당 지도부 선출방식
국민참여 거부 끝까지 고집
손대표 “김 전 대통령께서도
기득권 포기하라 하셨는데…”
국민참여 거부 끝까지 고집
손대표 “김 전 대통령께서도
기득권 포기하라 하셨는데…”
6일 오전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예정된 일정을 취소하고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을 찾아 김대중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했다. 매주 화요일 이희호씨와 동교동계 인사들이 김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는 자리에 함께해, 최근 진행중인 야권통합 경과도 설명했다.
손 대표의 이날 참배는 야권통합의 ‘룰’과 관련해 갈등을 빚고 있는 박지원(사진) 전 원내대표를 겨냥한 것이다. 손 대표의 한 측근은 “김 전 대통령이 서거 직전 ‘통합을 위해선 기득권을 포기하라’고 강조하셨는데, 최근 박 전 원내대표가 정반대의 행보를 하고 있다는 게 손 대표의 판단”이라고 전했다.
민주당 내부 갈등의 핵심은 ‘통합정당의 지도부 선출 방식’이다. 손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와 ‘혁신과 통합’ 등은 ‘대의원 20%, 국민경선(당원·시민) 80%’로 통합정당의 지도부를 선출하는 방안을 선호했다. 시민들에게 문호를 활짝 열어야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 박 전 원내대표 쪽은 “당권은 당원에게서 나와야 한다”며 이른바 ‘당원주권론’을 주장하고 있다. 박 전 원내대표는 5일 낮 손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국민참여 경선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같은 날 밤 열린 통합협상위원회 회의에서도 박 전 원내대표 쪽의 박양수 전 의원은 ‘20%-80%’ 경선 룰이 다수안으로 논의되는 것에 반발해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박 전 원내대표는 6일에도 “‘20%-80%’ 합의와 관련해 어떠한 합의 내용도 전해듣지 못했다”며 “민주당 지도부가 소통하지 않은 채 ‘따라오라’고 하는 것은 구태의 리더십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전 원내대표를 지지하는 의원들도 의원총회를 소집해야 한다며 반발했다.
하지만 당내에선 ‘아직 최종 합의도 안 된 경선 룰을 놓고 박 전 원내대표 쪽이 반발하는 이유가 결국 시간끌기 아니겠느냐’는 시각이 많다. 박 전 원내대표 쪽이 “당내 통합협상위원회에서 경선 방안 등에 대해 결론내지 못하면 (12월11일 전당대회 이후 생기는) ‘수임기구’로 논의를 넘기자”고 주장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현 지도부가 물러난 뒤 수임기구에서 좀더 유리한 경선 룰을 만들려는 포석인 셈이다. 박 전 원내대표 쪽은 기존 당원들의 투표 외에 자동응답전화(ARS)나 모바일 경선 신청 등 젊은층의 참여를 끌어내는 방안 도입에도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에 ‘혁신과 통합’ 쪽은 이날 80% 국민참여 경선에 민주당 당비를 내는 당원 10만명을 자동 포함하는 방안과, 대의원 참여 비율을 20%가 아닌 33.3%로 늘리는 절충안을 민주당에 제시하며 ‘최후통첩’을 했다. 민주당은 이날 밤늦도록 심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를 수용할지 여부를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하고 7일 열리는 의원총회 등에서 다시 검토할 예정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