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부터 유승민·원희룡·남경필 최고위원
최고위원 3인 동반사퇴뜻 왜
원희룡 “당 해체까지 각오”
공천권 행사 문제도 지적
원희룡 “당 해체까지 각오”
공천권 행사 문제도 지적
한나라당 유승민·원희룡·남경필 최고위원이 ‘동반사퇴 카드’를 적극 검토하는 건, 홍준표 대표 체제에 대한 불신뿐 아니라 박근혜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당내 요구가 임계치에 닿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들 3명은 6일 긴밀히 접촉하며 동반사퇴 여부와 시점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승민 최고위원은 “홍준표 대표의 상황 인식이 전혀 안 되고 있다. 지금 당의 (위기) 상태가 너무 심각하다”며 “(동반사퇴 여부를 두고) 원희룡·남경필 최고위원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3명은 10·26 서울시장 선거 패배 뒤 요동치던 쇄신 국면에서도 사퇴 문제를 고민했지만 당시엔 “대안도 없이 자리만 사퇴하는 건 무책임하지 않으냐”며 사퇴 카드를 접었다. 하지만 ‘디도스 사건’ 등 연이은 악재에 결국 대안을 떠나 ‘사퇴 카드’라는 승부수를 띄울 수밖에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
중앙선관위 해킹 사건에 대한 지도부의 대처 방식이 결정타였다. 사건이 불거진 지난 2일, 홍준표 대표는 “의원실에서 한 일”이라며 선을 그었고, 4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예정했던) 쇄신책만 논의하자”고 했다가, 유승민·원희룡 최고위원 등이 반발한 뒤에야 디도스 대책을 논의했다. 5일 의원총회에 들어가기 전 원희룡 최고위원은 “사실 책임질 방법이 안 떠오른다. 당 해체 수준까지 각오하고 있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세 최고위원은 지도부 입성 이후 줄곧 홍준표 대표를 비판하며 견제해왔다. 홍 대표의 여대생 비하 발언과 선관위 해킹 사건 등이 터질 때마다 정면에서 홍 대표를 비판했고, 홍 대표가 밝혀온 공천권 행사 방식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달 29일 당 쇄신연찬회에서 박근혜 전 대표의 등장을 조건으로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는 홍 대표의 말을 이들이 비판한 것도, 당시로선 사실상 불가능한 조건을 달아, 재신임을 묻고 공천권도 담보받으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우려였다.
이들 3명이 동반사퇴할 경우 선출직 최고위원은 홍 대표와 나경원 최고위원 2명만 남는다. 나경원 최고위원은 직함은 유지하고 있으나 서울시장 선거 패배 뒤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하고 있어서 사실상 선출직 최고위원은 홍준표 대표 혼자만 남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비대위 체제로 가거나 새로 전당대회를 여는 방안이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게 당내 대체적인 관측이다. 홍 대표가 버틸 수가 없다는 것이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