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이정희·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왼쪽부터)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진보당 신년회견 “연대기구 빠르게 구성”
‘당 지지율만큼 지역구 후보 보장’ 제시
민주당 떨떠름 반응 “당장은…” 선그어
‘당 지지율만큼 지역구 후보 보장’ 제시
민주당 떨떠름 반응 “당장은…” 선그어
통합진보당이 16일 민주통합당(민주당)에 ‘총선 야권연대 논의기구’ 구성을 전격적으로 제안했다. 야권연대의 상대방인 민주당의 한명숙 새 대표가 업무를 시작한 첫날, 어렵고도 중요한 ‘화두’를 던진 것이다. 민주당은 야권연대의 ‘초반 주도권’을 의식한 듯 지도부 비공개 회의를 거쳐 공식적인 반응을 내지 않기로 했다. 본격적인 협상에 앞서, 야권연대의 명분을 틀어쥐기 위한 두 당의 ‘샅바싸움’이 시작된 것 같다.
통합진보당 이정희·유시민·심상정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 “총선 승리를 위한 야권연대기구를 양당 대표 책임 하에 빠르게 구성하자”고 한명숙 대표에게 제안했다. 한 대표는 전날 대표 선출 직후 “통합진보당과 총선연대 대화를 시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통합진보당은 “국민의 지지가 왜곡되는 현행 소선거구제 극복을 위해 독일식 정당명부비례대표제를 공동공약으로 합의하자”며 “정당지지도를 고려하고 지역독점을 해소할 합리적인 기준에 입각해 야권 단일후보를 내야 한다”고 말했다.
통합진보당이 제시한 야권연대 방안의 핵심은 지역(광역) 단위로 각 당의 지지율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단일후보를 보장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울에서 두 당의 지지율 비율이 8 : 2라면 20%에 해당하는 서울 지역구를 진보당 후보에게 양보해야 한다는 논리다.
민주당이 일단 ‘침묵’ 모드를 유지하기로 한 데는 통합진보당의 ‘기습 제안’에 대한 섭섭함도 깔려 있지만, 당장 야권연대와 관련된 당의 통일된 의견이 없다는 이유가 더 크다. 논의를 시작하더라도 지역구 공천 방안과 맞물려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통합진보당이 이날부터 지역구 후보 선정 공고를 시작해 오는 2월4일 후보를 확정하게 되는 데 반해, 민주당의 후보 확정은 아직 일정도 나오지 않았다.
문성근 최고위원 등 옛 시민통합당 출신들은 여전히 “정당연합 방식으로라도 대통합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옛 민주당 출신들은 “통합 주장은 상대를 더 자극할 뿐”이라면서도, 통합진보당이 제시한 방안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오종식 민주당 대변인은 “통합진보당이 제시한 공동정책 공약이나 가치들은 우리 당의 강령과 큰 차이가 없어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도 “다만 우리 당은 짧은 시간 동안 이룬 물리적 결합을 화학적 결합으로 바꾸는 등 통합의 깊이와 폭을 갖추는 데 당분간 주력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