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열·서중석 등 빠져
국가보훈처가 국가유공자의 서훈 수여 여부와 등급을 결정하는 공적심사위원회에서 친일인명사전 편찬에 참여한 진보적 성향의 역사학자들을 대거 배제했다.
보훈처가 최근 민주통합당 박선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보훈처는 올해 초 독립유공자 서훈 공적심사위원 50명 가운데 23명을 교체했다. 2008년 5명, 2009년 6명, 2010년 3명, 2011년 12명이 교체된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큰 폭의 교체다. 교체된 위원 중에는 이만열 숙명여대 명예교수(전 국사편찬위원장),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 서굉일 한신대 명예교수, 서중석 성균관대 교수, 이준식 연세대 연구교수(전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상임위원)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모두 친일인명사전 편찬에 관여한 원로 사학자들이다. 윤 전 총장과 이 명예교수는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을 지냈으며, 서 명예교수와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의 외손자인 이 연구교수는 편찬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다. 서중석 교수는 편찬위원회 지도위원으로 일했다.
역사학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4월 장지연 <황성신문> 주필 등의 서훈 취소가 이뤄진 뒤 보수언론에서 보훈처를 끊임없이 공격해 왔는데, 그 영향을 받지 않았겠느냐”며 “친일인명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한 진보성향의 사학계 원로들이 빠진 자리를 뉴라이트 쪽 인사들로 채웠다는 이야기도 돌고 있다”고 말했다. 보훈처는 공적심사위원 명단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보훈처 관계자는 “몇 년에 한 번씩은 공적심사위 운영에 변화를 주기도 하는데, 이번에는 의견이 한 군데로 치중되면 안 돼 다양성을 확보하는 쪽으로 (새로 위원들을 위촉)했다”며 “또 역사학 이외에 정치학, 사회학 등의 전공자 비율을 늘렸다”고 설명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감기 낫게 해준다고 때리고 굶기고…목회자 세자녀 ‘어이없는 죽음
■ 성형 전 모습도 ‘귀신같이’…더이상 못 속인다
■ 4대강 함안보 강바닥 깊이 21m 구덩이 파여…“놔두면 보 붕괴”
■ 권력암투 휘말린 보시라이 ‘겉으론 의연’
■ 장관이 총수 만나자고 하면 “급이 안맞아서…”
■ 감기 낫게 해준다고 때리고 굶기고…목회자 세자녀 ‘어이없는 죽음
■ 성형 전 모습도 ‘귀신같이’…더이상 못 속인다
■ 4대강 함안보 강바닥 깊이 21m 구덩이 파여…“놔두면 보 붕괴”
■ 권력암투 휘말린 보시라이 ‘겉으론 의연’
■ 장관이 총수 만나자고 하면 “급이 안맞아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