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사될 것” 12명-“힘들 것” 11명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 성사 여부를 두고 정치 전문가들의 전망도 팽팽하게 맞섰다. 두 당이 ‘시기가 문제이지 반드시 이뤄질 것’이라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정치 전문가들 중에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냉정한 평가를 내놓는 이들도 많았다.
26명 가운데 야권연대가 성사될 것으로 본 이들이 12명, ‘잘 안될 것’이라고 답한 이가 11명이었다. 나머지 3명은 ‘쉽지 않을 것’ 또는 ‘지역적 연대만 가능할 것’ 등 유보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긍정적 전망의 주요 근거는 이번 총선이 대선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김능구 이윈컴 대표는 “총선에서 서로 상처를 주면, 대선에도 나쁜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선거연대가 꼭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도 “민주당의 과잉 자신감이 협상을 어렵게 하는 제1요인이 되고 있지만, 정권교체를 이룰 유일한 방안이 야권연대이기 때문에 선거 직전에 극적인 돌파구가 열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부정적으로 전망한 전문가들은 두 당 내부의 복잡한 사정을 이유로 꼽았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는 “양당이 각각 내부의 복잡한 조직적 사정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더불어 주요 정책에 대한 공조의 밑그림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준한 인천대 교수도 “지방선거에 비하여 나눌 자리도 적고 민주당이 절실하지도 않은 것 같다”며 “통합진보당의 요구도 비현실적이고 과도하다”고 평가했다.
야당 지지자들의 이탈 현상을 주목하는 시각도 있었다. 임상렬 리서치플러스 대표는 “연대의 큰 틀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하고 유권자에게 어필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고, 장덕진 서울대 교수는 “자기희생은커녕 계파 나눠먹기나 하고 있는 민주당에 실망한 국민들이 야권연대 압력을 중단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상호 서원대 교수도 “상징적 인물과 지역에서 국지적 타결이나, 지역별 자율적 협상 타결 가능성이 더 크다”고 내다봤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태호 PD “파업 동참 이유는 가슴이 울어서…”
■ 새누리당도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한다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나경원, 고소는 하지 말았어야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 김태호 PD “파업 동참 이유는 가슴이 울어서…”
■ 새누리당도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한다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나경원, 고소는 하지 말았어야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