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민주통합당 대표가 2일 오전 인천 남동구 논현동 소래포구 어시장에서 이 지역에 출마한 박남춘 후보(맨 왼쪽)와 함께 주꾸미를 들어보고 있다.
인천/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불법사찰 파문에 선거판 요동…판세 변화는 미정
여야, 초경합 40곳 중 수도권 30곳 ‘대혼전’ 분석
여야, 초경합 40곳 중 수도권 30곳 ‘대혼전’ 분석
4·11 총선 판세가 극도의 혼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으로 선거판이 요동치고 있지만, 아직 하나의 흐름으로 정착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각 당은 분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당 경쟁을 벌이고 있는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모두 2일 현재까지 큰 틀에서나마 수정된 판세 분석치를 내놓는 데 주저하고 있다. 양당은 지난 29일 각각 ‘70석 안정권’(새누리당), ‘106석 가능권’(민주당)의 지역구 판세 전망치를 내놓은 바 있다. 현재로선 이때와 크게 달라진 수치 변동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것이 양당 전략가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현재로선 서울 12석, 인천 3~5석, 경기 14석 등 수도권 112석 가운데 29~31석만이 안정권”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여기에 영남(전체 67석) 59~63석, 충청권(전체 25석) 6석, 강원·제주(전체 12석) 6석 등 100석 초반대가 확보 가능한 수치라고 추산하고 있다. 106석을 제시한 민주당 주장까지 함께 고려할 경우 전체 지역구 246석 중 40석 안팎이 초경합 지역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30여석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것으로 양당은 보고 있다.
실제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이 불거진 직후 이뤄진 일부 매체의 여론조사 결과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초박빙의 혼전이 벌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3월31일~4월1일 진행된 지상파 방송3사 공동여론조사에선 서울 21곳 가운데 1, 2위 간 격차가 오차범위(±4.4%포인트)를 넘어선 곳은 10곳에 그쳤다. 새누리당이 용산(진영), 은평을(이재오), 동작을(정몽준), 서초갑(김회선), 강남을(김종훈), 송파을(유일호) 등 6곳, 민주당이 도봉갑(인재근), 마포을(정청래), 동작갑(전병헌) 등 3곳, 통합진보당이 노원병(노회찬) 1곳에서 비교적 뚜렷한 강세를 보였다. 일찌감치 현재 1위의 우세가 예상되던 지역이다.
나머지 11곳은 모두 오차범위 안에서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중구(정진석>정호준), 동대문을(홍준표>민병두), 노원갑(이노근>김용민), 서대문갑(이성헌>우상호), 영등포갑(박선규>김영주), 영등포을(권영세>신경민), 송파병(김을동>정균환), 종로(정세균>홍사덕), 광진갑(김한길>정송학), 강서갑(신기남>구상찬)에서 새누리당과 민주당 후보, 관악을(김희철>이상규)에서 무소속 후보와 통합진보당 후보 간에 접전이 펼쳐지고 있다.
지난달 31일 진행된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도 조사 대상인 수도권 6곳 중 4곳(서울 도봉을·인천 남동갑·경기 군포·고양일산동)에서 민주통합당, 2곳(서울 중랑을·송파병)에서 새누리당이 오차범위(±4.0%포인트) 이내 ‘백중우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30~31일 진행된 <조선일보> 여론조사에서도 은평을을 제외한 서울 4곳 중 3곳(종로·중구·영등포을)에서 오차범위(±4.4%포인트) 내 1~2위 다툼이 펼쳐졌다.
다만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이 실제 표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선 두 당 모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수도권의 상당수 경합지역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반면에 민주당은 정부·여당 심판론에 불을 댕겨 지지층 결집에 도움을 주지 않겠느냐는 기대를 걸고 있다.
민주당 일부에선 이번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 경기도 군포와 고양 일산동구의 1~2위가 처음으로 뒤바뀌었다는 점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다. 군포에선 그동안 두차례 여론조사에서 2위에 그쳤던 이학영 민주당 후보가 43.6%를 얻어 유영하(35.8%) 새누리당 후보를 앞섰다. 오차범위 안이지만, 그동안의 추세를 뒤집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고양 일산동구에서도 유은혜 민주당 후보가 39.6%로 강현석(37.8%) 새누리당 후보를 앞선 것으로 나왔다. 역시 지난 3차례의 다른 매체 여론조사에선 10%포인트 남짓한 열세를 보여왔던 추이를 반전시킨 것이다. 야권연대와 민간인 불법사찰 파문의 영향이 아니냐는 추론이 나오는 대목이다.
하지만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아직 전반적 판세 변화를 단정지을 만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조심스런 태도를 보였다. 이 관계자는 “바닥의 정권심판론은 강한 흐름으로 존재하지만, 공천 과정에서 등을 돌린 호남 지지층이 아직 재결집하는 양상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며 “가시적인 표심 변화 여부는 이번 주말께나 돼야 포착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손원제 황준범 기자 wonj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김제동 사찰에 분노한 20~30대, 다시 ‘MB 심판’
■ 민간인 불법사찰 지원관실, MB 고교동문들 뒤 봐줘
■ ‘낙지 질식사’ 보험금 노린 남친의 살인이었다
■ ‘BBK 가짜편지’ 신명 귀국 “여권인사 개입 증거 있다”
■ 내가 살찌는 것은 유전자 탓?
■ 김제동 사찰에 분노한 20~30대, 다시 ‘MB 심판’
■ 민간인 불법사찰 지원관실, MB 고교동문들 뒤 봐줘
■ ‘낙지 질식사’ 보험금 노린 남친의 살인이었다
■ ‘BBK 가짜편지’ 신명 귀국 “여권인사 개입 증거 있다”
■ 내가 살찌는 것은 유전자 탓?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