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당선자, 당 책임논쟁과 거리두기
김 지사 “여당 심판못한 야당 심판”
김 지사 “여당 심판못한 야당 심판”
민주통합당이 총선 패배 책임론과 대선 준비 등으로 혼란에 휩싸임에 따라 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문재인 당선자(부산 사상)의 총선 이후 행보에도 시선이 쏠리고 있다.
문 당선자는 총선 이후 지역구인 사상과 부산·경남 지역 당선 인사 등을 위해 부산에 머물고 있다. 그는 민주당 총선 전략 가운데 하나였던 ‘낙동강 벨트’ 전투의 총사령관이었지만, 당내의 책임 논쟁에서는 한발짝 물러나 있는 형국이다. 이와 관련해 문 당선자의 한 측근은 “문 당선자도 총선 패배에 따른 뒷수습을 최대한 서둘러야 한다는 입장을 당 지도부에 전달했고, 선거 직후 지도부는 물론 당 안팎의 인사와 수시로 의견을 주고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언제든 당내 문제와 관련해 상의할 자리나 자신에게 요청되는 일이 있으면 마다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문 당선자 쪽에서는 이번 총선으로 부산·경남에서 민주당의 확장 가능성이 확인된 만큼 고삐를 늦추지 않고 이 지역의 지지세를 다지는 일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당분간 부산에 머물며 부산·경남 지역 전반에서 지지 기반을 탄탄하게 다져놓는 것이 향후 예정된 당내 대선후보 경선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야권의 또다른 ‘잠룡’으로 꼽히는 김두관 경남지사의 움직임도 주목받고 있다. 김 지사는 총선 다음날인 12일 광역자치단체장으로서는 이례적으로 ‘총선 결과에 대한 논평’을 내어 “새누리당을 제대로 심판하지 못한 야당을 먼저 심판한 것”이라며 “민주통합당이 국민의 요구를 제대로 받들지 못해 결과적으로 새누리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하도록 만들었다”고 날선 비판을 내놨다. 김 지사의 이런 행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대선을 앞두고 그가 본격적인 정치행보에 나서려는 ‘포석’을 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야권 일부에서는 경남에서 야당이 참패한 것에 대한 김 지사의 정치적 책임론도 나오고 있다. 김 지사는 부산·경남 선거 결과에 대해 “기대했던 의석수를 얻지 못했으나, 야권 후보들이 영남 유권자들로부터 받은 높은 득표율은 지역구도 극복의 가능성을 확인해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제수씨 성폭행’ 의혹 후보 당선에 누리꾼 ‘탄식’
■ 안철수에 쏠리는 눈…“등판 타이밍만 남았다”
■ 유아인 “패배라 말하지 마라…국민은 패잔병 아니다”
■ 수원 피살여성 신고전화, 경찰이 먼저 끊었다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 ‘제수씨 성폭행’ 의혹 후보 당선에 누리꾼 ‘탄식’
■ 안철수에 쏠리는 눈…“등판 타이밍만 남았다”
■ 유아인 “패배라 말하지 마라…국민은 패잔병 아니다”
■ 수원 피살여성 신고전화, 경찰이 먼저 끊었다
■ 연해주에 ‘표범 나라’ 생겼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