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전 대표. 뉴스1
한명숙 사퇴때 핵심 역할한듯
임시지도부 문제에도 목소리
임시지도부 문제에도 목소리
민주통합당이 총선 패배 이후 진로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최고위원이 아니면서 가장 강한 목소리를 내는 인물이 있다. 손학규(사진) 전 대표다.
손 전 대표는 총선 패배에 책임을 지고 당 지도부가 총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을 앞장서 펴고 있다. 문성근 최고위원의 대표 대행 체제가 아닌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당 지도부를 개편해야 한다는 것이다. 손 전 대표는 지난 13일 한명숙 대표 사퇴 이후 상당수 최고위원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이런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손 전 대표의 한 측근은 15일 “손 전 대표는 대표만 물러난 채 선거 패배에 책임이 있는 지도부가 대행체제로 지속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는 생각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손 전 대표는 비대위를 이끌만한 위원장감이 보이지 않는다는 의견에는 “원혜영도 있고, 유인태도 있지 않으냐”고도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손 전 대표는 한명숙 대표 사퇴 때도 핵심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 전 대표는 한 대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당 상임고문단 회의에 앞서 친분이 있는 상임고문들에게 전화를 돌려 ‘한 대표가 즉각 책임지고 사퇴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손 전 대표가 지도부 총사퇴와 비대위 구성을 앞장서 주장하는 까닭을 두고, 당 안에선 이후 당내 대선 후보 경선 구도까지 내다본 행보가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한명숙 대표보다 친노 색채가 더 뚜렷한 문성근 최고위원 대행체제로 갈 경우 차기 당권 경쟁에서 친노그룹에 유리한 흐름이 만들어질 수 있고, 이는 대선 후보 경선에서도 문재인 상임고문 등 친노 주자에 대한 쏠림 현상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문성근 대행체제’에 대한 강한 거부감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손 전 대표의 한 측근은 “문성근 뒤에 문재인이 있다는 건 분명한 것 아니냐”고 했다.
손 전 대표의 이런 발 빠른 움직임은 앞으로 전개될 대선 국면에서 그가 적극적인 목소리를 낼 것임을 예고하는 것으로 읽힌다.
손원제 기자 wonje@hani.co.kr, 사진 뉴스1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