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박사 출신 의원들 ‘논문검증’ 회오리에 긴장
문대성 새누리당 당선자(부산 사하갑)의 논문 표절 논란이 총선 이후 정치 쟁점으로 떠오르면서, 국회 안팎에서는 ‘하루하루가 가시방석인 당선자들이 꽤 있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논문 표절 문제는 참여정부 때였던 2006년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낙마를 계기로 장관 등 고위공직자들의 청문회 검증 필수 항목으로 자리잡은 데 이어, 이번 논란을 거치면서 국회의원들에게도 ‘검증 필수 과목’이 됐다. 300명의 당선자 가운데 논문을 전문적으로 썼던 학자 출신뿐 아니라 경력 관리용으로 석·박사 학위를 땄던 이들이 언제든 ‘논문 검증’의 대상에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총선에서 문 당선자 외에 새누리당 정우택 당선자(청주 상당)와 민주당 정세균 당선자(서울 종로) 등도 논문 표절 시비 대상이 됐다. 정우택 당선자는 1992년 하와이대 박사학위 논문에서 국내 강아무개 교수의 1990년 논문과 1988년 출간된 로저 프란츠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교수의 저서 등을 각주 없이 인용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민주당은 “논문의 원저자인 로저 프란츠 교수도 이메일로 ‘명백한 표절’이라고 밝혀왔다”는 내용을 공개한 바 있다. 정우택 당선자는 “참고문헌 목록에 해당 논문과 저서 등이 포함돼 있으며, 내 논문은 ‘X-비효율성 이론’으로 한국과 대만의 산업을 최초로 비교해 독창성을 인정받은 논문”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정세균 의원은 2004년 경희대 박사학위 논문이 1991년 이아무개씨가 쓴 석사학위 논문, 그리고 1998년 출간된 이아무개 교수의 ‘정치광고와 선거전략론’ 일부를 각주 없이 인용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정 의원 쪽은 “참고문헌에 해당 논문과 저서가 포함돼 있고, 문제가 제기된 부분은 본문이 아닌 서문에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는 부분”이라며 “심사과정에서 심사위원들과 모두 공유된 부분인데도 새누리당이 표절 의혹을 제기한 것에 대해 당시 논문 심사위원장이 격노하고 있다”고 전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SNS, 이자스민 인종차별 공격’ 과장됐다
■ 표절은 넘어가도 ‘박근혜 팔기’는 안돼?
■ 4300억 투입 신형 싼타페 “아우디 큐5가 경쟁 모델”
■ 김구라 ‘개념 행동’에 인터넷 ‘동정론’ 확산
■ 국산 미사일 첫 공개…내부선 “이래도 되는 건지…”
■ ‘SNS, 이자스민 인종차별 공격’ 과장됐다
■ 표절은 넘어가도 ‘박근혜 팔기’는 안돼?
■ 4300억 투입 신형 싼타페 “아우디 큐5가 경쟁 모델”
■ 김구라 ‘개념 행동’에 인터넷 ‘동정론’ 확산
■ 국산 미사일 첫 공개…내부선 “이래도 되는 건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