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단·비례대표 전원사퇴’ 운영위 결의 거부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부정과 관련해 전국운영위원회가 ‘대표단과 경쟁부문 비례대표 전원 사퇴’를 결의했다. 그러나 당권파 쪽 비례대표인 김재연 당선자(청년비례·3번)는 “청년비례 선거에서 그 어떤 부정도 발견되지 않았다. 사퇴하지 않겠다”며 전국운영위 결의를 거부하고 나서는 등 양쪽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비당권파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진보당 전국운영위원회는 지난 5일, 이정희·심상정·유시민·조준호 공동대표와 경선 비례대표 전원(14명)이 총사퇴하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는 내용의 쇄신안을 통과시켰다. 쇄신안에는 ‘경선 관리 책임자 전원을 당기위원회에 회부하고, 비대위가 6월 말까지 새 지도부 선출을 마친 뒤 해산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전국운영위는 표결에 반발해 회의장을 봉쇄한 당권파 지지 당원들을 피해 5일 밤 인터넷 회의와 전자투표를 통해 진행됐으며, 운영위원 50명 가운데 28명이 참석해 참석자 전원 찬성으로 쇄신안을 통과시켰다.
운영위는 당권파 반발을 고려해 ‘조사위의 보고서가 당원의 명예를 지키고 구체적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는 데 일부 미흡함을 인정한다’는 문구를 쇄신책에 넣었으나, 당권파들은 여전히 ‘비당권파가 잘못된 조사를 근거로 여론몰이를 하고 있다’며 반발의 강도를 누그러뜨리지 않고 있다. 또한 운영위의 대표단·비례대표단 총사퇴 결의에 대해서도 강제력이 없다며 거부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당권파 쪽인 김재연 비례대표 당선자는 6일 오후 국회에서 사퇴 거부 기자회견을 열어 “진상조사위원도 ‘조작이라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했는데, 하루아침에 수만명의 당원과 청년선거인단에게 부정선거의 혐의를 씌우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사퇴 거부 뜻을 밝혔다. 김 당선자의 이런 태도는 ‘사실관계를 따져 그에 걸맞은 책임을 당사자에게 물어야 한다’는 당권파 입장과 맥을 같이한다.
통합진보당은 오는 12일 전국운영위보다 상위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위원회를 열어 전국운영위 결의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중앙위원 구성도 비당권파가 다수를 점하고 있어, 당내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위 결정이 진보당 사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