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첫개최 관심 증폭
옛 민노당 일부, 비당권파 힘실어줘
당권파, 중앙위보다 ‘당원투표’ 전략
옛 민노당 일부, 비당권파 힘실어줘
당권파, 중앙위보다 ‘당원투표’ 전략
통합진보당 당권파의 중심인물인 이석기 당선자(비례대표 2번)가 7일 비례대표 사퇴 여부를 전체 당원 투표로 결정하자는 제안을 내놓으면서, 이정희 대표 등 당권파와 유시민·심상정·조준호 대표 등 비당권파의 갈등이 전면적인 세력대결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창당 5개월 만의 위기다.
이 당선자는 비례대표 후보들은 당원 투표를 거쳐 결정됐고 4·11 총선에서 당선된 만큼 사퇴를 하려면 그에 걸맞은 무게감 있는 결정이 필요하다는 이유를 내세웠다. 이 당선자 등 당권파의 이런 주장은, 유시민 대표 등 비당권파가 주도한 전국운영위원회의 권고안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진보당 전국운영위는 지난 6일 비례대표 경선 과정에서 불거진 선거부정 수습책으로, 대표단 사퇴와 경쟁부문 비례대표 당선자·후보자 전원 사퇴 권고안을 의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오는 12일 열릴 중앙위원회가 당권파와 비당권파 대의원들의 격돌장이 될 상황이다. 이 자리에서 비주류가 중심이 된 전국운영위원회의 권고안(대표단 사퇴 및 비례대표 당선자·후보자 사퇴 등)을 따를지, 아니면 당권파 제안대로 전체 당원 투표를 통해 비례대표 사퇴 여부를 정할지 결론을 내야하기 때문이다. 진보당의 의사결정 구조는 대표단-운영위-중앙위-당원투표 순으로, 뒤로 갈수록 권한이 세다. 지난 4일부터 사흘 동안 열린 운영위는 거친 논쟁과 감정 대립으로 수차례 정회를 거듭하다가 이정희 대표 등 당권파 운영위원들이 불참한 가운데 당권파 쪽 열성 당원들의 회의장 진입 방해로 ‘전자회의’로 대체됐다. 중앙위가 운영위보다 권한이 크고 참석 규모도 큰 만큼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대결 양상도 더 격할 것으로 전망된다.
진보당의 중앙위원회 대의원 수는 950명이다. 이번 중앙위원회는 특히 지난해 12월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그리고 진보신당 출신이 합쳐 통합진보당을 만든 이후 처음 열리는 터라, 그 누구도 결과를 예측하기 힘들다. 통합 당시 당원 수는 민주노동당 쪽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통합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모든 의결기구를 55(민주노당 쪽):30(참여당):15(진보신당 쪽)의 비율로 배분했다. 운영위와 중앙위도 마찬가지다. 이정희 대표 등 당권파가 당원 분포 면에서는 다수일 수 있지만, 옛 민주노동당의 일부 정파가 비당권파 쪽에 힘을 실어주면서 운영위와 중앙위 구성비율에서 당권파는 35% 안팎의 소수가 됐다. 50명 규모의 운영위원들의 성향은 비교적 쉽게 드러나는 반면, 중앙위 대의원은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비당권파가 유리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긴 하지만 35:65(옛 민주노동당 20%+참여당 30%+진보신당 출신 15%)의 결과가 나온다는 보장은 없다.
유시민 대표 등 비당권파는 중앙위에서 결론을 짓겠다는 전략이다. 이정희 대표와 이석기 당선자 등 당권파는 상대적으로 불리한 중앙위보다는 전 당원투표를 통해 결정하자는 전략이다. 이는 되돌이표처럼 ‘비례대표 선거부정’에 대한 견해차로 돌아간다. 유 대표는 선거 부정이 드러난 만큼 현재의 당원 명부와 당원 투표 시스템을 믿을 수 없어 당원 투표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쪽이다. 반면, 이 대표는 7일 투표 관리 부실과 일부에서 드러난 선거 부정 문제를 당권파의 조직적인 범죄인양 몰고갔다며 비당권파를 겨냥해 “진상조사위의 조사 결과에 대한 공청회를 열자”고 제안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안전 장담하더니 ‘광우병 토론 불참’ 문자만 ‘달랑’
■ 청 경호처, 늑장부리다 홍석현에 수십억 차익 안겼다
■ 정봉주 팬 카페 ‘미권스’ 카페지기 긴급체포, 왜?
■ 쪼그라드는 ‘청계장학금’
■ 형과 사이가 좋지 않은 남편, 어떡하죠?
■ 안전 장담하더니 ‘광우병 토론 불참’ 문자만 ‘달랑’
■ 청 경호처, 늑장부리다 홍석현에 수십억 차익 안겼다
■ 정봉주 팬 카페 ‘미권스’ 카페지기 긴급체포, 왜?
■ 쪼그라드는 ‘청계장학금’
■ 형과 사이가 좋지 않은 남편, 어떡하죠?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