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 대표단과 운영위원들이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에서 열린 전국운영위원회에서 ‘진상보고서 결과에 따른 후속 처리 및 대책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안’에 대한 수정안을 논의하기 위해 의장석에 모여 이야기하고 있다. 오른쪽 둘째부터 유시민, 이정희, 심상정, 조준호 공동대표.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조준호 조사위원장 ‘유령당원’ 인터뷰에
당권파 이정희 대표 기자회견 열어 ‘역공’
당권파 이정희 대표 기자회견 열어 ‘역공’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경선 부정 사태를 둘러싸고 당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조준호 공동대표)와 이정희 대표를 비롯한 당권파 사이의 공방이 더욱 날카로워지고 있다. 조 위원장의 진상 조사 발표에 대한 당권파의 반박, 이에 대한 재반박과 조 위원장의 언론인터뷰를 통한 추가 의혹 제기, 그에 대한 당권파의 공개반론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경선 부정에 대한 의혹 제기와 반박이 이어지고 있다. 당권파들은 이런 문제들을 새롭게 파헤치자며 2차 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 주민번호 뒷자리가 2000000?
조준호 위원장은 10일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동일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쓴 당원 등 유령당원이 무더기로 발견됐다’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이정희 대표는 곧바로 기자회견을 열고 “인터넷 검색만 해봐도 규명할 수 있는 내용인데, 사실 확인도 없이 유령당원 의혹을 제기했다”고 반박했다. 조 위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투표자 중에서 ‘이름은 다른데 주민등록 뒷자리가 같은 이들이 발견됐다’며, ‘유령당원’(존재하지 않는 당원) 문제를 꺼냈다. 그는 “동일 아이피(IP)에서 이뤄진 중복 투표를 조사하는데 이름은 다르고 주민번호 뒷자리가 같은 결과치가 발견됐다. 또 주민번호 끝자리가 ‘2000000’으로 된 사례도 있었고, 주민번호가 123, 124, 125 이렇게 이어진 사례도 있었다”며 “이런 특이한 유형의 사례를 이해할 수 없지 않나. (부정이) 명백하다. 결국 둘 중 한 명, 셋 중 두 명은 유령당원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정희 대표는 보도자료를 내어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 주민번호 뒷자리는 출생지의 관할관청을 기준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동일한 지역(동)에서 출생신고를 한 20명만 모이면, 그 중 한쌍 이상이 뒷번호가 같을 확률이 높다”며 “한 기초단체에서 가족이 여럿 섞여있는 528명의 주민번호를 표본으로 조사해보니, 1xx6411라고 정확히 같은 주민번호 뒷자리 7자리를 쓰는 사람이 모두 21명이나 나올 정도로 비슷한 번호가 많다”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이어 “같은 표본에서 가족관계 등으로 뒷번호 세자리가 나란히 이어지는 사람이 149명”이라며 “저희가 1시간도 되지 않아 의혹을 해명할 수 있는 사실을 (유령당원의 증거라고) 주장했다”고 비판했다. 조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주민번호 뒷자리가 2000000인 당원도 여럿 있었다”고 밝혔는데, 이 대표는 “해외거주자였거나, 주민번호 오기, 주민번호 비공개 요구 등의 사유가 있지만, 확인 결과 모두 존재하는 당원이었다”고 해명했다. ■ 투표율 100%가 넘는 곳이 2곳?
이 대표는 이날 ‘현장투표와 온라인투표를 합치면 투표율이 100%가 넘는 곳이 있다’며 유령당원 의혹을 제기한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오보라고 반박했다. 이런 의혹은 지난 7일 각 지역별 후보자들의 득표율 현황이 공개되면서 불거졌다. 예를 들어, 충남 공주 지역위원회의 경우 3월 초 선거인 명부 확정시 당원이 90명이었지만, 지역별 득표 현황을 보니 온라인으로 72명이 투표하고 오프라인으로 20명이 투표해, 총 92명이 투표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통합진보당 선관위는 “3월18일 개표결과 발표 당시에는 지역별 득표현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시스템이 설계되어 있지 않았고, 그 이후 4월29일에야 당적 기준으로 투표 결과를 산출해 벌어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 사이 주소지 기준으로 당적을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됐고, 4월29일 기준으로 하면 공주 지역의 당원은 113명으로 재조정됐다는 것이 통합진보당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공주지역위원회 쪽은 “이들을 모두 전수조사했는데, 투표자와 미투표자의 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2차 조사 때 명확한 추가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 온라인투표 부정 여부가 쟁점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가 당권파의 핵심으로 꼽히는 이석기 당선자를 겨냥했다는 공방도 계속되고 있다. 조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온라인 투표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열어본 시점에서 특정 후보에게 몰표가 몰린 의혹이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특정 후보는 사실상 이석기 후보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석기 당선자 쪽은 “시간대별 득표율 그래프를 보면 모두가 잠자는 밤에는 멈춰있다가 일과가 시작되면 상승하는 패턴이 반복되는데, 전체의 25%를 득표한 후보가 5%를 받은 후보와 같은 추세를 보일 수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쟁점의 핵심은 결국 전체 투표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온라인투표에서 조직적이고 의도적인 부정이 있었느냐 여부다. 전체 투표의 15%를 차지하는 현장 투표에서 관리가 부실했고, 일부에서 부정사례가 발견된 데 대해서는 당권파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당권파 쪽에서는 온라인에서 큰 표 차이로 1위를 한 이석기 후보와 역시 온라인으로 이뤄진 청년비례대표의 김재연 당선자의 책임 문제는 온라인투표에서 부정이 밝혀졌을 때 물을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2차 조사를 요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그날 진돗개가 목줄을 끊고 도망가버렸다 얼마나 무서웠으면…”
■ 마트서 산 떠먹는 요구르트에 농약…50대 의식불명
■ “150cm 키가 장점이 될 수 있더라고요”
■ “김태희 쓰지마라” 일 우익단체 간부 체포
■ 제주도 미적대는새 ‘구럼비 발파’ 끝났다
조준호 위원장은 10일 <오마이뉴스> 인터뷰에서 “동일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를 쓴 당원 등 유령당원이 무더기로 발견됐다’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이정희 대표는 곧바로 기자회견을 열고 “인터넷 검색만 해봐도 규명할 수 있는 내용인데, 사실 확인도 없이 유령당원 의혹을 제기했다”고 반박했다. 조 위원장은 이날 인터뷰에서 투표자 중에서 ‘이름은 다른데 주민등록 뒷자리가 같은 이들이 발견됐다’며, ‘유령당원’(존재하지 않는 당원) 문제를 꺼냈다. 그는 “동일 아이피(IP)에서 이뤄진 중복 투표를 조사하는데 이름은 다르고 주민번호 뒷자리가 같은 결과치가 발견됐다. 또 주민번호 끝자리가 ‘2000000’으로 된 사례도 있었고, 주민번호가 123, 124, 125 이렇게 이어진 사례도 있었다”며 “이런 특이한 유형의 사례를 이해할 수 없지 않나. (부정이) 명백하다. 결국 둘 중 한 명, 셋 중 두 명은 유령당원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정희 대표는 보도자료를 내어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 대표는 “우리나라 주민번호 뒷자리는 출생지의 관할관청을 기준으로 부여되기 때문에 동일한 지역(동)에서 출생신고를 한 20명만 모이면, 그 중 한쌍 이상이 뒷번호가 같을 확률이 높다”며 “한 기초단체에서 가족이 여럿 섞여있는 528명의 주민번호를 표본으로 조사해보니, 1xx6411라고 정확히 같은 주민번호 뒷자리 7자리를 쓰는 사람이 모두 21명이나 나올 정도로 비슷한 번호가 많다”라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이어 “같은 표본에서 가족관계 등으로 뒷번호 세자리가 나란히 이어지는 사람이 149명”이라며 “저희가 1시간도 되지 않아 의혹을 해명할 수 있는 사실을 (유령당원의 증거라고) 주장했다”고 비판했다. 조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주민번호 뒷자리가 2000000인 당원도 여럿 있었다”고 밝혔는데, 이 대표는 “해외거주자였거나, 주민번호 오기, 주민번호 비공개 요구 등의 사유가 있지만, 확인 결과 모두 존재하는 당원이었다”고 해명했다. ■ 투표율 100%가 넘는 곳이 2곳?
이 대표는 이날 ‘현장투표와 온라인투표를 합치면 투표율이 100%가 넘는 곳이 있다’며 유령당원 의혹을 제기한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오보라고 반박했다. 이런 의혹은 지난 7일 각 지역별 후보자들의 득표율 현황이 공개되면서 불거졌다. 예를 들어, 충남 공주 지역위원회의 경우 3월 초 선거인 명부 확정시 당원이 90명이었지만, 지역별 득표 현황을 보니 온라인으로 72명이 투표하고 오프라인으로 20명이 투표해, 총 92명이 투표한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통합진보당 선관위는 “3월18일 개표결과 발표 당시에는 지역별 득표현황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시스템이 설계되어 있지 않았고, 그 이후 4월29일에야 당적 기준으로 투표 결과를 산출해 벌어진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 사이 주소지 기준으로 당적을 정리하는 작업이 진행됐고, 4월29일 기준으로 하면 공주 지역의 당원은 113명으로 재조정됐다는 것이 통합진보당의 설명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공주지역위원회 쪽은 “이들을 모두 전수조사했는데, 투표자와 미투표자의 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어, 2차 조사 때 명확한 추가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 온라인투표 부정 여부가 쟁점
진상조사위원회의 조사가 당권파의 핵심으로 꼽히는 이석기 당선자를 겨냥했다는 공방도 계속되고 있다. 조 위원장은 인터뷰에서 “(온라인 투표 프로그램) 소스코드를 열어본 시점에서 특정 후보에게 몰표가 몰린 의혹이 있다”고 거듭 주장했다. 특정 후보는 사실상 이석기 후보를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석기 당선자 쪽은 “시간대별 득표율 그래프를 보면 모두가 잠자는 밤에는 멈춰있다가 일과가 시작되면 상승하는 패턴이 반복되는데, 전체의 25%를 득표한 후보가 5%를 받은 후보와 같은 추세를 보일 수 있겠느냐”고 반박했다. 쟁점의 핵심은 결국 전체 투표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온라인투표에서 조직적이고 의도적인 부정이 있었느냐 여부다. 전체 투표의 15%를 차지하는 현장 투표에서 관리가 부실했고, 일부에서 부정사례가 발견된 데 대해서는 당권파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당권파 쪽에서는 온라인에서 큰 표 차이로 1위를 한 이석기 후보와 역시 온라인으로 이뤄진 청년비례대표의 김재연 당선자의 책임 문제는 온라인투표에서 부정이 밝혀졌을 때 물을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2차 조사를 요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그날 진돗개가 목줄을 끊고 도망가버렸다 얼마나 무서웠으면…”
■ 마트서 산 떠먹는 요구르트에 농약…50대 의식불명
■ “150cm 키가 장점이 될 수 있더라고요”
■ “김태희 쓰지마라” 일 우익단체 간부 체포
■ 제주도 미적대는새 ‘구럼비 발파’ 끝났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