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대표 경선에 출마한 후보들이 1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공명선거실천협약식에서 협약서에 서명한 뒤 손을 맞잡고 있다. 오른쪽부터(기호순서대로) 이해찬, 우상호, 김한길, 추미애, 조정식, 강기정, 이종걸, 문용식 후보.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민주당 대표후보 토론회
17일 열린 민주통합당 전당대회 출마자 첫 합동토론회의 최대 쟁점은 ‘이해찬-박지원 합의’를 둘러싼 논란이었다. 이해찬 후보는 대선 승리를 위해 자신의 위기관리 능력과 당내 ‘단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지만, 김한길 후보는 이를 ‘담합’으로 규정하고, 민주당의 위기와 문재인 상임고문의 지지율 저하로 이어진 원인이 됐다고 비판했다. 선두권을 형성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두 후보는 문재인 상임고문이 <한겨레>와의 인터뷰에서 밝힌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공동정부론’에 관해서도 시각차를 드러내는 등 사안마다 대립했다.
이해찬 후보는 ‘이-박 담합’이라는 비판에 대해 “목적은 좋은데 과정이 잘못됐다. 민주적 절차가 없었다는 것인데 충분히 (비판이) 있을 수 있다”며 일단 절차상 하자를 인정했다. 그러면서도 “당내 선거에 이렇게 언론이 집중 비판한 적은 없었다. ‘나쁜 언론’이 자꾸 이간하려는 용어에 물들지 말고 동지적으로 가야 한다. 나쁜 언론에 세뇌당하지 말아야 한다”며 당 안팎의 비판 여론을 언론보도 탓으로 돌렸다.
그러자 김한길 후보는 “총선 실패를 부른 계파정치를 극복해야 하는데 오히려 내놓고 패권적 계파에 기대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 국민 시선으로 보면 오만과 독선으로 보일 것”이라며 “그런 제안 이후 우리 당 지지율이 급락하고 문재인 고문의 지지율도 한자릿수로 떨어졌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이어 “옳지 않은 제안을 해놓고 그걸 지적하는 사람은 나쁜 신문에 의해 세뇌당한 사람이라고 하는 건 잘못”이라고 비판했다.
우상호 후보도 “당이 단합하려면 최대 계파인 ‘친노’가 먼저 벽을 허물고 끌어안아야 하는데 짜인 각본대로 결과가 나오면 국민들이 외면할 것”이라며 ‘이-박 연대’를 비판했다. 조정식 후보 역시 ‘이-박 연대’가 역동성을 떨어뜨린다고 지적했다.
유일한 여성 후보인 추미애 의원은 “당내 노선 갈등은 그만두고 국민노선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종걸 후보는 “당 안팎의 후보가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486 정치인’에 속하는 조정식·강기정·문용식 후보는 쇄신과 수도권 ‘2040세대’ 지지를 강조했다. 손학규 상임고문과 가까운 조 후보는 “젊고 역동적인 리더십으로 수도권의 2040세대와 소통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세균 상임고문의 지지를 받는 강기정 후보는 “불확실한 당 바깥 후보에 눈독 들이지 말고 전당대회가 끝나면 3기 민주정부 준비단을 구성해 로드맵을 만들자”고 말했다. 문용식 후보는 “친노와 호남만으로는 안 된다. 수도권 2040세대의 지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따로 항쟁에 뛰어든 쌍둥이…형은 주검으로 돌아왔다
■ 손학규 “지금은 문재인이 우세하지만…”
■ 과수원집 아들이 ‘사찰 열쇠’ 쥔 공무원 되기까지…
■ 비아그라 특허 만료…저가 복제약 쏟아진다
■ 주가 반등했지만…‘먹구름’ 여전
■ 따로 항쟁에 뛰어든 쌍둥이…형은 주검으로 돌아왔다
■ 손학규 “지금은 문재인이 우세하지만…”
■ 과수원집 아들이 ‘사찰 열쇠’ 쥔 공무원 되기까지…
■ 비아그라 특허 만료…저가 복제약 쏟아진다
■ 주가 반등했지만…‘먹구름’ 여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