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및 언론의 ‘군사정변’ ‘군사 쿠데타’ 표기와 달라
국가정보원이 홈페이지에 ‘5·16 군사쿠데타’를 ‘5·16 군사혁명’으로 표기해 입줄에 올랐다. 최근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는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일으킨 5·16 쿠데타를 옹호하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23일 국정원의 홈페이지의 메뉴에서 주요 업무→안보 수사→국내안보 위해세력→연대별 활동실태를 찾아보면, “1960년대 4·19 혁명 후 ‘혁신정당’ 건설 등 통일전선체 구성을 주도하다 5·16 군사혁명 이후 지하로 잠복”이라고 적혀 있다. 5·16을 현행 교과서에서는 ‘군사정변’, 언론에서는 ‘군사정변’이나 ‘(군사)쿠데타’로 표기하고 있다.
교육부 교과서기획팀의 유대균 장학관은 “예전에는 교과서에서 5·16을 ‘군사혁명’ 또는 ‘혁명’이라고 쓰다가 김영삼 정부 때인 1996년부터 ‘군사정변’이라고 고쳤다”며 “교과서를 만드는 출판사들에게 이를 지키도록 한다”고 밝혔다. 문정인 연세대 교수는 “국정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는 5·16 쿠데타의 주역인 김종필씨가 만든 것”이라며 “아직 국정원은 5·16 군사혁명이라고 표기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는 “담당자가 지난해 6월 홈페이지 개편 때 어릴 때 배운 대로 5·16 군사혁명이라고 올린 것 같다”고 해명했다. 국정원은 이 표기가 논란이 되자, 이날 오후 ‘5·16 군사혁명’을 성격 규정이 없는 ‘5·16’으로 고쳤다.
박근혜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는 지난 7월16일 5·16 군사쿠데타에 대해 “아버지로서는 불가피하게 최선의 선택을 한 것”이라며 “5·16이 오늘의 한국이 있기까지 초석을 만들었다”고 말한 바 있다.
김규원 전종휘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