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후 울산 종하체육관에서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울산합동연설회가 진행됐으나 문재인, 손학규, 김두관, 정세균 후보의 자리는 비어 있다. 울산/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민주당 경선 파행
모바일 투표 논란 왜 불거졌나
1~3번 찍은뒤 끊으면 ‘무효’ 처리
“경선전 수정요구” “시연하고 합의”
6월 전대때도 이번 방식 적용
당 선관위 “문제 제기 지나쳐”
모바일 투표 논란 왜 불거졌나
1~3번 찍은뒤 끊으면 ‘무효’ 처리
“경선전 수정요구” “시연하고 합의”
6월 전대때도 이번 방식 적용
당 선관위 “문제 제기 지나쳐”
이번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 파행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모바일투표 방식은 지난 6월9일 이해찬 대표를 선출했던 전당대회 때도 사용된 바 있다. 경선 선거인단에 자동응답방식(ARS)의 전화를 걸어 기호 순서대로 후보 이름을 불러주고, 이를 다 들은 유권자가 번호를 선택하면 투표가 종료된다. 그때도 유권자가 후보자의 이름을 끝까지 듣지 않고 중간에 투표를 한 뒤 전화를 끊어버리면 투표가 성립되지 않고 기권으로 처리됐다. 이번과 마찬가지다.
문재인(기호 4번) 후보를 제외한 손학규(기호 3번), 김두관(기호 2번), 정세균(기호 1번) 후보는 이 부분이 공정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앞 순번 후보들의 경우 이름만 듣고 찍은 뒤 곧바로 전화를 끊어버려 무효 처리된 이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반면 문 후보를 지지하는 이들은 이름을 다 듣고 투표할 수밖에 없어 프로그램 설계가 결과적으로 기호 4번인 문 후보가 유리했다는 게 이들의 판단이다. 손학규 캠프의 김유정 대변인은 26일 “지난 15~16일 권리당원(12만명)에 대한 모바일투표가 진행되기 전에 이런 문제를 지적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저희 캠프에서 23~24일 제주 경선 모바일투표를 하루 앞두고 강력히 항의해 그나마 ‘후보 이름을 끝까지 듣고 투표해달라’는 안내 문구가 들어간 것”이라고 밝혔다.
26일 논란이 확산된 뒤 당 선관위는 ‘끝까지 듣지 않고 투표하면 무효 처리된다’, ‘삐 하는 안내음이 나온 뒤 투표해달라’는 문구를 추가하고, ‘후보 이름을 부르는 순서도 순환(로테이션)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세 후보 쪽은 ‘선관위가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을 방치했다는 점을 인정하는 꼴’이라며 격앙된 반응을 내놓고 있다. 김유정 대변인은 “경선 전에 로테이션 방식을 요구했을 때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이제 와 방식이나 문구를 바꾸면 이미 투표를 한 권리당원이나 제주·울산 유권자들과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당 선관위 관계자는 “각 후보의 기호가 정해지기 전에 시연까지 해가며 합의한 방식”이라며 “이런 방식을 도입한 이유에 대해 각 캠프에서 잘 알고 있는데, 문제제기가 너무 지나치다”고 반박했다. 후보자의 이름을 다 듣지 않으면 기권 처리를 하도록 규정한 것은 지난 6월 전당대회 때 생긴 조항이다. 당시 대표·최고위원 출마자들이 8명이나 됐는데, 자동응답전화의 특성상 뒷번호 후보가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런 점을 고려해 후보의 기호가 정해지기 전에 ‘기권 규정’에 대해 합의해놓고, 이제 와서 뒷번호 후보에게 유리하게 설계됐다고 주장하는 걸 납득할 수 없다는 것이다.
‘비문’ 세 후보 쪽은 ‘전화를 중간에 끊어도 유효표로 인정해야 한다’며 시스템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당 선관위는 이 부분도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시스템을 수정하면 안정성 검증을 할 시간이 부족할 뿐 아니라, 그렇게 바꿀 경우 뒷번호 후보가 불리하게 되는 또다른 문제를 낳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후보 이름을 로테이션 방식으로 바꿔 불러주는 게 그나마 합리적인 절충안이라는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 1월 전당대회 때 자동응답전화를 로테이션 방식으로 하거나, 스마트폰을 이용해 화면으로 투표하는 두 가지 방식을 동시에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이후 스마트폰 투표는 오류가 많아 폐기했고, 자동응답전화 로테이션 방식 역시 듣는 유권자들이 순서를 헷갈리는 경우가 있어 후보를 기호순으로 불러주는 방식으로 바꿨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