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관 후보
“불공정 계속되도 국민때문 결단”
김두관(사진) 민주통합당 대선경선 후보는 경선 불참 하루 만인 27일 오후 복귀를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불공정한 상황이 계속되더라도, 국민의 기대를 외면할 수 없어 결단을 한 것”이라고 밝혔다. ‘경선 복귀’가 경선 초반 불거졌던 불공정한 룰이 해결됐기 때문이 아니라, 당이 더는 상처를 입어서는 안 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갈등이 봉합 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이번 경선 불참 사태로 김 후보가 입은 타격은 적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평가다. 김 후보 쪽 한 참모는 “손학규, 정세균 후보와 함께 1위인 문재인 후보에 대한 공세에 공조를 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지만, 모바일투표 문제가 경선 불참을 선언할 정도의 심각한 사안이었는지에 대해선 여론이 우호적이지는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선 불참이라는 지나친 강수를 둔 데 대한 비판적 여론을 인식하고 있는 분위기다. 캠프 안에선 그동안 당 지도부와 선관위의 경선 진행 방식 등에 대해 쌓인 불만이 한꺼번에 폭발하면서 냉정함을 잃었다는 분석이 있다.
김 후보는 제주·울산 결과를 합쳐 2위를 차지했다. 제주 경선 논란이 없었다면 손학규 후보에 비해 좀더 주목받을 수 있었는데, 결과적으로 이런 효과도 누리지 못하게 됐다. 다만 당 안팎에선 ‘김 후보가 로그파일 분석 결과가 나올 때에 맞춰 신속하게 경선 복귀 결정을 해줬기 때문에 앞으로 경선 과정에서 선전하면 만회할 기회가 있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있다.
김 후보는 남은 경선 과정에서 문 후보 등 당내 주류세력에 뚜렷한 각을 세우겠다는 태도를 분명히 했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민주당에는 ‘친노’라는 이름의 세력이 새로운 기득권과 특권이 되고 있다”며 “노무현의 이름을 이용하는 세력과는 완전히 결별하고 노무현 정신을 김두관식 정치로 발전·승화시키겠다”고 말했다. 이번 경선 파문을 계기로 자신을 ‘친노 주류’에 맞서는 ‘비주류의 대표 정치인’으로 브랜드화하려는 구상이 엿보인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