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덕 새누리당 전 의원이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지난 4·11총선을 앞두고 한 중소기업 대표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했다는 혐의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고발된 것을 해명하는 기자회견을 마친 뒤 회견장을 나서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의 경선캠프 ‘좌장’인 홍사덕 전 의원이 6000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다음날인 18일 오전 탈당하자 “꼬리 자르기”라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망언과 거짓말 등 박근혜 후보 ‘주변인’들의 잇딴 구설수에 이어 홍 전 의원의 비리 혐의까지 드러나자 비난은 자연스레 박 후보에게 집중됐다.
홍 전 의원은 지난달 29일 “유신은 100억 달러 수출을 위해 한 것”이라고 말했다가 당 안팎의 비난을 받은 바 있다. 조국 서울대 교수는 이를 언급하며 자신의 트위터에 “100억불 수출 위해 유신 필요했다는 궤변을 던졌던 홍사덕, 불법정지차금 수수로 고발되었다. 역시 그의 사고는 70년대에 머물러 있었다. 유신 스타일”이라고 꼬집었다. 이계안 전 민주당 의원은 “12월19일이 기다려진다. 박 후보 옆에 그때까지 견딜 자가 있으려나”라며 홍 전 의원의 탈당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냈다. “협박전화 정준길 사퇴, 부정선거 최구식 탈당, 제수추행 김형태 탈당, 논문 복사 문대성 탈당, 공천뇌물 현영희 탈당, 6천만원 홍사덕 탈당”(**hope) “이러다 새누리당 사람들 모두 탈당하겠군”(soo****) 등의 비아냥도 이어졌다.
청와대와 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증거인멸 사건의 장진수 전 주무관을 변호했던 이재화 변호사는 자신의 트위터에 “선관위는 조사해 본 결과 선거범죄가 성립한다고 확신할 때는 ‘고발’하고, 죄가 있다고 의심되나 추가수사해 볼 필요가 있는 것은 ‘수사의뢰’한다. 선관위가 고발한 사건은 대부분 기소된다”며 “현영희·홍사덕 사건은 선관위가 수사의뢰 아닌 고발한 것”이라고 적었다.
‘보이지 않는 내막’을 의심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kim4*****는 “홍사덕이 결백하다면 탈당할 이유가 없다. 뭐가 구리니까 박근혜에게 맞을까봐 꽁무니를 빼는 것”이라며 “이 사건에 대해 박근혜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참 궁금하다”고 적었고, 1070****는 “아무래도 연막작전 같다. 뭔가 더 큰 그림이 있는데 그걸 숨기기 위해 토사구팽하는 듯 하다”고 지적했다.
csk****는 “과거사 죽어도 사과 못하겠다면 최측근인 홍사덕의 불법자금 수수혐의란 ‘현재사’에 대해선 사과해야 마땅한 게 아닌가. 그것이 보스의 도리”라며 박 후보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박현철 기자 fkcool@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광주 여고생 성폭생 사건 용의자 자수
■ 수뢰혐의 전 세무서장 도피…검찰·경찰 ‘합동 책임’ 논란
■ 안대희 퇴임 한달만에 변호사 ‘자택 개업’
■ 안철수 국민보고는 ‘잡스식 PT’로 진행
■ 김시진 넥센 감독 전격 경질
■ “아버지의 성폭행에도 전 더럽혀지지 않았어요”
■ [화보]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문재인
■ 광주 여고생 성폭생 사건 용의자 자수
■ 수뢰혐의 전 세무서장 도피…검찰·경찰 ‘합동 책임’ 논란
■ 안대희 퇴임 한달만에 변호사 ‘자택 개업’
■ 안철수 국민보고는 ‘잡스식 PT’로 진행
■ 김시진 넥센 감독 전격 경질
■ “아버지의 성폭행에도 전 더럽혀지지 않았어요”
■ [화보]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문재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