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왼쪽)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만나 환담하고 있다.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의 회동은 지난 9월 청와대 오찬 이후 4개월 만이며 또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임기 말까지 탈당하지 않은 현직 대통령이 같은 당의 당선인을 만나는 첫 사례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이대통령-당선인 무슨 얘기 나눴을까
‘박근혜 공약’ 무상보육 예산 증액 등 수용된듯
4개월만에 만남…“정권 인수인계 다양한 논의”
공기업 임명직 인사문제 대화 오갔을 가능성
‘박근혜 공약’ 무상보육 예산 증액 등 수용된듯
4개월만에 만남…“정권 인수인계 다양한 논의”
공기업 임명직 인사문제 대화 오갔을 가능성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청와대에서 단독으로 만나 정권 인수인계와 국정 현안 전반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이 자리에서 박 당선인은 이 대통령에게 민생 관련 예산이 통과되도록 협조해줄 것을 요청했고, 이 대통령은 적극 협조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의 만남은 지난 9월2일 단독회동 이후 4개월 만에 이뤄졌다. 탈당하지 않은 현직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인 간의 첫 회동으로 기록됐다.
조윤선 대변인은 회동이 끝난 뒤 당사 기자실에서 회견을 열어 “두분간 국정인수를 위한 전반적인 문제에 관해 말씀을 나눴다”고 밝혔다. 박 당선인은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데 최소한의 민생 예산을 책정한 사안인 만큼 이 예산이 통과돼야 국민들에게 한 약속을 실천할 수 있다. 이 민생예산이 통과되는데 대통령과 정부의 협조를 바란다”고 말했다고 조 대변인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민생예산 통과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답했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민생 예산 문제에 대해 여야는 상당히 인식이 공유돼 있는데 기획재정부에서는 민생예산, 공약예산을 제대로 하는 것과 국채 발행 문제에 대해 적자 예산을 걱정하면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 국민과의 약속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당선인이 이 대통령에게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여야가 계수조정 과정에서 지역예산은 줄이고 민생예산과 공약예산은 늘리는 쪽으로 거의 합의가 되고 있는 분위기인데 그런 과정에서 정부도 좀 더 유연하게 접근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정부가 무상보육 예산 등 박근혜 당선인의 공약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예산의 증액에 반대해온 점에 비춰 이 대통령이 이른바 ‘박근혜 예산 증액’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원내 핵심당직자는 이와 관련해 “국채발행과 무상보육 예산이 핵심이다. 정부와 당 사이에 의견이 거의 접근하고 있어 잘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채 발행은 애초 새누리당은 1조5000억원을 요구했으나, 정부 쪽은 9000억원선으로 수정제시했고, 반값 등록금 및 무상보육 관련 예산에 대해서도 정부 쪽은 난색을 표해왔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도 대선 다음날인 20일 박 당선인의 공약 실현을 위한 예산 확대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일단은 원안대로 하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 (인수위에서) 꼭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면 내년도에 또 기회가 있지 않겠느냐”고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박 당선인에게 협조를 약속함에 따라 막바지에 이른 국회 예산안 협의 과정에서 이런 부분이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과 박 당선인은 오후 3시에 만나 인사를 나눈 뒤 3시10분부터는 배석자 없이 40분간 단독회동을 했다. 민생 예산 이외의 다른 주제의 대화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조 대변인은 “정권 인수인계 부분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했고 특히 민생예산을 강조해서 얘기했다고 들었다. 다양한 문제를 얘기했겠지만 (박 당선인이) 구체적 내용 다 말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공기업 임명직 인사 문제에 대한 대화가 오갔을 가능성이 있다. 역대로 임기를 2개월여 앞둔 현직 대통령과 5년을 새로 시작하는 대통령 당선인이 공존하는 정권교체기에는 임기만료된 정부나 공기업의 임명직 인사 문제를 두고 양쪽 간에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어왔다. 박 당선인도 지난 25일 “최근 공기업, 공공기관 등에 전문성이 없는 인사들을 낙하산으로 선임해서 보낸다는 얘기가 많이 들리고 있는데 이는 국민께도 큰 부담이 되는 것이고, 다음 정부에도 부담이 되는 일이고 잘못된 일”이라며 임기 말 ‘낙하산 인사’에 공식 제동을 걸고 나선 바 있다.
송채경화 신승근 기자 kh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나는 시부모에게 결투신청 하기 싫어요
■ ‘교주 박정희’는 1원이라도 내셨는가
■ 신혼여행 다녀오니 ‘해고’…“넌 결혼하지 마!”
■ 당신의 하루 식사에 쓴 물, 욕조 15개 분량
■ KT, 제주 7대 경관 선정 의혹 제기 ‘공익제보자’ 해고
■ “추운데 빨리 들어와요”… MB, 1층 현관서 당선인 맞아
■ 부당 내부거래에…돈봉투에…‘자격 미달’ 인수위 청년위원
■ 나는 시부모에게 결투신청 하기 싫어요
■ ‘교주 박정희’는 1원이라도 내셨는가
■ 신혼여행 다녀오니 ‘해고’…“넌 결혼하지 마!”
■ 당신의 하루 식사에 쓴 물, 욕조 15개 분량
■ KT, 제주 7대 경관 선정 의혹 제기 ‘공익제보자’ 해고
■ “추운데 빨리 들어와요”… MB, 1층 현관서 당선인 맞아
■ 부당 내부거래에…돈봉투에…‘자격 미달’ 인수위 청년위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