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부터 시공까지 부실
지난해 11월19일 서울 환경재단에서 열린 ‘4대강 보 붕괴 시작’ 기자회견에서 박창근 관동대 교수가 칠곡보 수중촬영 동영상을 보며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바닥보호공 유실에 세굴 최대 20m
물높이 예측 잘못해 수문도 위험
국토부 부실 알고도 땜질 처방만 더구나 국토해양부는 이런 사실이 드러난 뒤에도, 근본적 해결책 없이 땜질 처방만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보호공 유실 등 피해가 확인된 뒤에도 국토해양부는 막연히 바닥보호공만 확장하는 등 임시방편의 보수만을 반복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운동연합의 이철재 정책위원은 “그동안 학계와 시민사회 진영, 야권이 지속적으로 4대강 보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했지만, 국토해양부는 단 한번도 성실한 검증에 나선 적이 없었다. 전국 곳곳에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폭탄을 만들어 둔 셈인데, 이제 그 부담은 고스란히 국민에 전가되게 생겼다”고 말했다. 보에 설치된 수문에서도 이상이 발견됐다. 설계 당시 예상 물높이와 실제 물높이가 달라 수문이 수압을 견디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칠곡보·구미보·낙단보 등은 하류의 물높이가 높아 안전성 저하로 수문을 열고 닫는 것조차 위험한 상황이다. 또 수문을 열고 닫을 때 나타나는 진동 현상이 고도의 수압에 증폭될 수 있는 가능성은 설계 당시 검토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미보 등 12개 보는 수문 진동에 의한 영향을 아예 검토하지 않았다. 감사원은 국토해양부에 이런 결함을 조속히 시정하도록 통보하고, 관련자에게 주의를 촉구했다. 관동대 박창근 교수(토목공학)는 “2011년 1차 감사 당시 예견됐던 문제를 당시에는 묵인했기 때문에, 결국 4대강 사업은 마무리되고 말았다”고 아쉬워했다. 4대강 사업 실무를 담당했던 한국수자원공사 고위 관계자는 “감사원의 감사 내용을 면밀히 확인하고 차후 보완 대책을 내놓겠다”고 말했다.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이마트 ‘특혜채용’ 고위층 자녀 누구?
■ 당선인쪽 “4대강 이렇게 부실할 줄 몰랐다”…출구전략 고민
■ 이동흡 부천지원장 때 조폭두목 3일만에 풀려나…왜?
■ “우리 가족 먹여 살리는 대들보가 사라진다니…
■ 세균덩어리 스마트폰, 변기보다 10배 더 더러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