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 협력-돈 교환’ 밝혀…“전두환씨 친위쿠데타 구상” 주장
한나라 공식대응 자제속 “박씨, 그런 말할 자격 있나”
한나라 공식대응 자제속 “박씨, 그런 말할 자격 있나”
지난 1990년 1월의 3당 합당을 전후해 당시 여권이 김영삼 당시 통일민주당 총재에게 40억여원을 건넸다는 박철언 전 의원의 ‘고백’이 정치권에 파장을 낳고 있다. 박 전 의원은 12일 3개의 라디오방송 시사프로그램에 출연해, 3당 합당과 40억원 전달 당시의 정황을 소상하게 설명했다.
DJ “야당으로 심판 받겠다”=박 전 의원은 방송에서 “3당 합당 때 김대중 당시 평민당 총재와도 은밀하게 깊은 대화를 나눴다”며 “보혁구도로 가기 위해 함께 (합당을) 하자고 했으나, 김 총재가 ‘야당으로서 국민의 심판을 받아 집권을 하고 싶다’고 거절해 빠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영삼 총재에게 제공한 40억원에 대해 “여소야대 상황에서 김 총재의 협력이 긴요했고, 김 총재도 정치자금이 필요해 (합당) 분위기 조성을 위한 자금으로 제공한 것”이라고 말했다. 40억원의 출처에 대해선 “심부름하는 처지여서 어떻게 만들었는지는 노태우 전 대통령에게 물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3당 합당의 또다른 축이었던 당시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총재에게도 돈이 전달됐을 개연성에 대해선, “당시 (김 총재는) 홍성철 청와대 비서실장 같은 분들이 접촉해, 내가 전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홍 전 실장은 지난해 작고했다.
그는 또 “1986년 전두환 대통령은 내각제 개헌을 준비하다 야권의 직선제 개헌 서명운동 등 반발에 부닥치자, 친위쿠데타를 일으킬 구상을 했었다”고 주장했다.
“대법원장을 면접”=박 전 의원은 회고록 <바른 역사를 위한 증언>에서, 청와대 정무비서관으로 있던 1981년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지시로 대법원장 후보들을 ‘면접’했다고 밝혔다. 회고록을 보면, 81년 4월1일 박 전 장관을 만난 대법원장 후보 ㄱ씨는 “과거에 각하를 잘 보좌하지 못한 데 대하여 반성하고 앞으로는 새로운 각오로 대통령을 보좌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난다.
박 전 장관은 또 같은 달 서울 하얏트호텔의 객실에서 대법원 판사 후보들을 차례로 면담했으며, 후보들 가운데 이회창 당시 부장판사가 눈에 띄었다고 기억했다. 그는 일선 정보기관 등에서 이 부장판사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놨으나, 전 대통령에게 “법원의 분위기 쇄신을 위해 젊고 소신있는 사람이 대법원 판사로 들어와야 한다”고 강하게 천거했다고 밝혔다.
뒤숭숭한 정치권=박 전 의원의 주장에 정치권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일단 공식 대응을 자제했으나, 그가 김영삼 전 대통령과 정치적 숙적관계였다는 점을 은근히 강조했다. 맹형규 정책위의장은 “과거 권력의 핵심에서 온갖 농단을 벌였던 그가 그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지 먼저 묻고 싶다”고 말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측근인 홍인길 전 청와대 총무수석비서관은 이날 <한겨레>와 통화에서 “그때 일은 관심도 기억도 없으며, 얘기하고 싶지도 않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의 뿌리가 3당 합당으로 태어난 민자당임을 강조하며, ‘원죄론’으로 한나라당을 압박했다. 전병헌 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한나라당의 본체인 3당 밀실야합의 검은 뒷거래가 드러났다”며 “박근혜 대표, 강재섭 원내대표, 김무성 사무총장으로 이어지는 지금의 삼각 체제는 3당 합당의 상징적 모습을 드러낸다”고 공격했다. 민주노동당은 “청문회 등을 통해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분명히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공소시효 문제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석규 박용현 황준범 기자 sky@hani.co.kr
김영삼 전 대통령의 측근인 홍인길 전 청와대 총무수석비서관은 이날 <한겨레>와 통화에서 “그때 일은 관심도 기억도 없으며, 얘기하고 싶지도 않다”고 밝혔다.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의 뿌리가 3당 합당으로 태어난 민자당임을 강조하며, ‘원죄론’으로 한나라당을 압박했다. 전병헌 대변인은 논평을 내어, “한나라당의 본체인 3당 밀실야합의 검은 뒷거래가 드러났다”며 “박근혜 대표, 강재섭 원내대표, 김무성 사무총장으로 이어지는 지금의 삼각 체제는 3당 합당의 상징적 모습을 드러낸다”고 공격했다. 민주노동당은 “청문회 등을 통해 진상을 밝히고 책임을 분명히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불법 정치자금에 대한 공소시효 문제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석규 박용현 황준범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