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변명은 무능만 부각시킬 뿐” 새누리당도 ‘인사 참사’ 공개 비판
청와대 검증라인 문책론도 나와
청와대 검증라인 문책론도 나와
성접대 의혹을 받고 있는 김학의 법무부 차관과 청문회 위증 논란을 일으킨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자가 잇따라 사퇴하는 등 ‘인사 참화’가 이어지자 새누리당 안에서도 청와대 민정수석 등 ‘인사 검증라인’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인책론이 제기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유감을 표명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22일 국회 브리핑에서 “장차관급 인사 과정에서 허술한 검증으로 국정운영에 큰 차질을 빚게 한 관계자들에 대해서는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변인은 “국민의 눈에 더욱 한심하게 비치는 것은 청와대의 허술한 인사 검증이다. 청와대의 변명은 청와대 검증팀의 무능만 부각시킬 뿐 국민을 납득시킬 수 없다”고 꼬집었다.
김용태 새누리당 의원도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공직 후보자가 낙마했다면 당연히 검증팀에서 누군가는 반드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학의 전 차관 등 문제 인사에 대한 부실 검증의 책임을 물어 곽상도 민정수석 등 검증 작업을 진행한 민정라인을 문책해야 한다는 요구다. 그동안 새누리당 안에서 의혹이 불거진 후보자들에 대한 비판은 있었지만, 청와대 검증팀에 대한 인책론이 공개적으로 제기된 것은 처음이다.
새누리당 일각에선 검증 업무를 맡은 민정라인도 문제지만, 임명권자인 박근혜 대통령 자신이 부실인사의 잘못을 인정하고 국민에게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친박계인 한 최고위원은 <한겨레>와 만나 “박 대통령에게 필요한 것은 용인술과 소통인데, 그것이 안 되는 게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인사) 문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한 재선 의원은 “청와대 민정수석실의 잘못된 검증 책임도 당연히 물어야겠지만, 박 대통령 본인의 인재 발탁 스타일과 인식이 1차적 문제다. 이것은 대통령이 책임져야 한다. 불필요한 카리스마로 직언을 막으니 누가 부실인사라고 (감히) 지적할 수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김용태 의원은 “이런 사태는 결국 박근혜 대통령 자신에게 책임이 있는 것이니 대통령이 최소한 국민들에게 유감 표명은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해진 의원은 “박 대통령이 자신의 인사 스타일을 단기간에 바꿀 가능성이 없는 만큼 새누리당이 적극적으로 대통령을 비판하고 견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참여정부에서 청와대에 근무했던 한 인사는 “박 대통령이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 국정운영과 시스템에 대한 기본 인식이 없거나 무지하다는 생각이 든다. 인사의 경우 추천과 검증을 반드시 분리해 여러 라인에서 다각도로 검증 작업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