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 시장경제
시장경제에 있어서 자유경쟁을 보장하지만, 시장형태 등을 포함한 사회적 질서의 형성·유지에 대해서는 국가가 경제·사회 정책을 통하여 책임을 진다.
|
|
|
대한민국 정치권에서 ‘독일 공부’가 대세다. 신자유주의에 따른 양극화, 남북 대립 등 우리 사회가 직면한 난제들을 풀어낼 해법을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에서 찾아보려는 시도다.
새누리당 의원들은 11일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형 국가모델을 모색하겠다며 ‘대한민국 국가모델 연구모임’(대표 남경필 의원)을 발족시켰다. 이 모임에는 정몽준 의원을 비롯해 56명의 새누리당 의원이 가입했다. 지난해 민주통합당 대선 경선에 참여했던 손학규 상임고문과 김두관 전 경남지사도 독일로 연수를 떠나 독일 통일 과정과 통일 이후 사회통합 정책, 사회복지·노동·대체에너지·중소기업 육성정책 등을 공부하고 있다.
11일 ‘대한민국 국가모델 연구모임’의 첫 강연에는 의원 45명이 참석했고, 대부분이 2시간 동안 자리를 지키는 등 성황을 이뤘다. 이날 김택환 경기대 교수가 초청강사로 ‘왜 지금 독일을 연구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12일 두번째 모임에선 의원 20여명이 열띤 토론을 벌였다.
새누리당 의원들이 ‘독일 모델’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는 그동안 미국식 신자유주의를 기치로 성장에만 매달려온 기존 모델로는 우리가 당면한 양극화 등 고질적인 사회문제를 풀 수 없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남경필 의원은 “경제성장의 수치도 중요하지만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유지하고 보장시켜준다는 의미에서 독일 사회가 주는 메시지가 크다”고 말했다. 모임 회원인 신동우 의원은 “우리가 그동안 줄기차게 달려만 왔는데 이 길이 옳은가를 회의할 때가 됐다. 미국식 모델과는 차별되는 독일식 모델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그동안 제3의 모델로 주목받아온 스웨덴 모델이 한국의 현실과는 맞지 않고, 독일이 인구 규모나 분단 경험 등 한국과 비슷한 점이 많은 것도 독일식 모델이 새롭게 각광받는 이유다. 김택환 교수는 “그동안 주로 스웨덴 모델이 많이 거론됐는데 그쪽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자원 부국인데다 인구도 우리나라의 10분의 1밖에 안 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독일이 경제민주화·복지·일자리·평화통일 등 한국이 안고 있는 시대적 결핍을 모두 풀어낸 나라라는 데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선 새누리당처럼 본격적으로 독일식 국가모델을 연구하는 모임이 없다. 손학규·김두관이라는 두 정치인이 독일 현지에서 각기 공부하고 있을 뿐이다.
신진욱 중앙대 교수는 “사회적 시장경제 모델은 보수진영에서 시작한 모델이지만 그 뒤엔 보수와 진보를 막론하고 사회 전체가 인정하는 사회·경제 체제가 됐다. 새누리당에서 이를 시도하고 있다는 것은 상당한 역사적인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시도가 진지한 것이라면 야권도 긴장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송채경화 송호진 기자
kh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4할 타자’ 류현진에 매팅리 “진정한 메이저리거” 극찬
■ 아! 김응용…한화 13연패 ‘굴욕’
■ 낸시랭, 박정희 대통령 볼에 뽀뽀 ~ 앙
■ 진중권, 민주당 원색비난…“문재인 빼면 쓰레기더미”
■ 공중부양 싸이 ‘싼티나게 쭈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