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민주당 의원,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등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주요 인사들이 남북 당국간 회담의 재개를 환영한다고 평가하면서, 우리 정부가 2000년 발표된 6·15 공동선언을 기념하는 남북공동행사 개최도 수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민주당 원내대변인인 홍익표 의원은 7일 국회 정론관 브리핑에서 “6·15 공동선언의 실무 등을 주도한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과 박지원 의원, 2007년 10·4 남북선언을 주도한 문재인 의원과 이재정 전 통일부 장관이 오늘 아침 모임을 갖고 이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홍 의원은 “네 분이 만나,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남북관계 긴장이 지속됐는데, 정부가 인내심을 갖고 대북정책을 주도한 결과 남북 당국간 회담이 재개된 것을 환영하고, 박근혜 정부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는 말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또 이 자리에선, “우리 정부가 차분하게 대응함으로써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야 하며, 대결과 위기국면의 한반도가 대화와 협력의 국면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는 지적도 나왔다”고 한다.
홍 의원은 “우리 정부가 불필요한 전제조건이나 과거에 연연하기보다 포괄적인 접근을 통해서 남북관계 전반에 새로운 국면을 열기 바란다는 얘기들을 나눴다”며 “특히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재개문제, 이산가족 상봉문제도 조속한 시일 내에 해결되고 가시적 성과를 내야하지만, 북한의 비핵화 문제, 한반도 경제공동체, 북한과 미국·일본 간의 대화와 관계개선 문제 등이 포괄적으로 논의되기를 바란다는 지적도 있었다”고 전했다.
또 이날 모임에선 “박근혜 대통령이 가진 대북정책의 진정성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의 기본 방향과 내용을 정확하게 북측에게 전달해서 한반도의 새로운 대화국면, 협력의 시대가 도래 할 수 있는 기회로써 적극 활용해 주길 바란다”는 바람도 나왔다고 홍 의원은 설명했다.
특히 홍 의원은 “6·15 공동 기념행사를 정부가 불허해왔는데, 이제 남북 당국간 회담이 재개되는 시점이기 때문에 6·15 공동 행사를 남북이 함께 할 수 있어야 하며, 6·15 공동행사 뿐만 아니라 (1972년 발표된) 7·4 남북공동성명 행사도 민·관이 함께 참여 하는 남북공동행사가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선제적이고 전향적인 조처를 취해주길 바란다는 말들이 있었다”고 전했다. 6·15 공동선언 기념행사와 관련해 청와대도 개최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사형수였던 버스기사 “과거 아닌 오늘의 나를 봐주세요”
■ 돈을 만들고 쓰고 감추는 기술까지…‘돈의 달인’ 전두환
■ ‘장타 군단’ 애틀랜타, 류현진 7승 사냥 제물될까
■ 일본 우익단체 단합대회 현장 가보니…일장기 향해 절하며 “혐한 좋다”
■ [화보] 이건희 ‘신경영’ 20년, 삼성의 빛과 그림자
■ 사형수였던 버스기사 “과거 아닌 오늘의 나를 봐주세요”
■ 돈을 만들고 쓰고 감추는 기술까지…‘돈의 달인’ 전두환
■ ‘장타 군단’ 애틀랜타, 류현진 7승 사냥 제물될까
■ 일본 우익단체 단합대회 현장 가보니…일장기 향해 절하며 “혐한 좋다”
■ [화보] 이건희 ‘신경영’ 20년, 삼성의 빛과 그림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