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열람위원들 이틀째 검색 실패
수작업으로 찾는 방안 등 검토할 듯
수작업으로 찾는 방안 등 검토할 듯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논란과 관련해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보관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대화록) 원본을 열람하려던 국회가 이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에 여야 열람위원들은 18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이런 상황을 보고하고, 추가 검색 외에도 수작업으로 대화록을 찾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화록 원본이 끝까지 확보되지 않는다면 서해 ‘북방한계선’ 포기 논란의 실체는 확인하지 못한 채 대화록 유실·폐기 여부를 두고 또다시 정치적 논란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17일 오후 경기도 성남 대통령기록관에서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 목록을 열람한 여야 열람위원들은 대화록 원본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15일 1차 열람에서 △NLL(엔엘엘)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국방장관회담 △장성급회담 등 7개 검색어를 통해 걸러진 정상회담 관련 자료 목록을 열람한 여야 위원들은, 목록에서 정상회담 대화록이 빠진 것을 확인하고 여야가 각각 기록관 쪽에 추가 검색어를 제시했다. 그러나 기록관 쪽의 2차 검색에서도 대화록 원본은 검색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 열람위원들은 이를 확인하는 질문에 모두 함구한 채 “내일 운영위 보고를 보라”고만 말했다.
참여정부 관계자들과 대통령기록관 업무를 잘 아는 이들은 “대화록이 없는 것이 아니라 검색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본다”는 조심스런 입장을 내놓았다. 참여정부 기록물 이관 과정에 정통한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록비서관은 “대화록을 포함해 청와대 업무관리 시스템인 ‘이지원’(e知園) 기록 전부를 기록관에 통째로 넘겼다. 정상회담 대화록이 없다고 한다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김 전 비서관은 “참여정부가 넘긴 이지원 검색 시스템과 기록관의 검색 시스템이 다르다고 한다. 기록관이 자신들의 관리 시스템에 맞게 데이터를 변환해 보관하는 과정에서 검색이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계속해서 대화록을 찾고 있는 과정으로 본다”고 말했다. 임상경 초대 대통령기록관장도 “시스템 에러 가능성 또는 기록물의 기밀성을 보장받기 위해 검색어를 다르게 지정했을 수 있다. 기록물이 없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가기록원에서 대화록을 끝까지 찾지 못할 경우 정치권에선 대화록이 유실됐는지, 아니면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파기했는지 등을 두고 새로운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대화록 보관을 책임진 국가기록원 쪽은 이날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았다. <한겨레>는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을 포함해 국가기록원 쪽에 여러 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김남일 송호진 기자 namfic@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출구 계단 1m 바로 앞에서 발견된 ‘노량진 참사’ 실종자 주검
■ 전두환 쪽 “전직 대통령이고, 국민들 보고 계시니…소송 제기 결정 안돼”
■ 박 대통령 ‘전시작작권 환수 공약’ 뒤집었다
■ 여기자들 앞에서 “처녀가 임신하는…”, 민주당 의원 또 ‘망발’
■ [화보] 경복궁에서 ‘한일 투견대회’가…그때 그시절 경복궁에선 ‘별의별 일’들이
■ 출구 계단 1m 바로 앞에서 발견된 ‘노량진 참사’ 실종자 주검
■ 전두환 쪽 “전직 대통령이고, 국민들 보고 계시니…소송 제기 결정 안돼”
■ 박 대통령 ‘전시작작권 환수 공약’ 뒤집었다
■ 여기자들 앞에서 “처녀가 임신하는…”, 민주당 의원 또 ‘망발’
■ [화보] 경복궁에서 ‘한일 투견대회’가…그때 그시절 경복궁에선 ‘별의별 일’들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