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한 미국 대사관과 대사관 직원 숙소 터로 용산 미군기지 캠프 코이너에 있는 2만4천여평의 땅을 제공하기로 미국과 합의한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정부는 그 대신 미국이 애초 대사관을 지으려 했던 중구 정동 경기여고 터(4500여평)와 대사관 직원 숙소를 지으려 했던 공사관저 터(3300여평) 등 모두 7800여평을 돌려받기로 합의했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한국과 미국 사이에 주고받을 땅의 면적과 위치 등에 대해 합의가 이뤄졌다”며 “조만간 대사관 높이, 주차장 건축기준 등 세부사항에 대한 논의를 매듭짓고 합의각서를 교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캠프 코이너에는 새 미국 대사관과 대사관 직원 숙소 및 현재 서울 남영동에 있는 공보과 등이 모두 들어설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애초 경기여고 터에 지상 15층짜리 대사관을 지을 계획이었으나, 이곳에 역대 임금의 어진과 혼백을 모신 선원전과 흥덕전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문화재위원회의 보존 결정이 내려짐에 따라 정부에 대체 땅을 요구했다. 공사관저 터에는 1896년 아관파천 당시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할 때 썼던 오솔길과 문의 초석이 남아 있어 역시 보존 결정이 내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공사관저도 돌려받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로써 문화재 보존과 대체 땅 제공을 둘러싸고 불거진 한미 현안이 해소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가 주는 땅이 받는 땅보다 3배 가까이 많은 것은 경기여고 터와 공사관저가 시내 복판에 있어 가치가 높고, 미국이 캠프 코이너에 대사관을 지으면서 테러에 대비해 안전기준을 강화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