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인사들 개별 참여
각 종단 대표들은 불참할듯
각 종단 대표들은 불참할듯
전국의 시민사회·종교계 인사들과 민주당 등 정당이 참여해 민주주의 회복과 국가정보원 개혁을 요구하는 ‘전국적인 연대기구’가 이달 안으로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대표실 관계자는 10일 “김한길 대표가 전국을 돌며 각 지역 시민사회·종교계 인사들을 만나보니, 박근혜 대통령의 독선이 심하다, 민주주의 회복과 국정원 개혁을 이뤄내야 한다는 데 공감을 하더라”며 “10월 안에 가시적인 (연대의) 형태가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상 원내로 복귀한 김 대표가 밝힌 전국적 연대의 얼개가 곧 모습을 드러낸다는 설명이다.
연대기구는 단체 자격보다는 전국의 시민사회 인사들이 개별 참여하는 형태가 될 전망이다. 시민사회 쪽과 접촉해온 남윤인순 민주당 의원은 “각계각층의 대표성 있는 개인들이 모여, 국정원 개혁이 해결될 때까지 (연대의) 틀을 유지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국정원 개혁을 위해 시민단체들이 만든 ‘시국회의’가 있기 때문에, 다시 단체들이 모이는 기구 구성을 피하려는 뜻도 있다. 정당이 주도해 정치색채가 뚜렷한 연대기구가 되지 않도록, 민주당도 개별 주체로 참여한다.
하지만 이 기구에는 천주교·불교·기독교·원불교 등 종교계 지도자들은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과 종교계의 소통을 담당해온 이용선 민주당 전 대외협력위원장은 “각 종단 대표들은 민주주의 근간을 훼손하는 국정원 문제 등에 대해 직접 의견 표명을 할 수는 있지만, (연대기구에) 참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반응이었다”고 말했다. 다만 종단에서 구체적인 직책을 맡지 않고 있는 김상근 목사, 청하 스님 등은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대 틀이 구체화하는 가운데, 민주당은 원내외 병행투쟁 강화를 표명했던 김 대표가 슬그머니 원내로 복귀한 것처럼 비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한 당직자는 “(완전한) 원내 복귀는 아니다. 이제 정기국회가 열렸으니 국정감사, 법안·예산싸움을 (원내에서도) 관리하고, 장외에선 시민사회·종교계와 연대하는 진화된 투쟁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김 대표의 국회 복귀는 잘한 결정이다. 그간 건강에 이상은 없었는지 걱정”이라며 환영 논평을 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