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선거구제 개편에 당력 집중”
야 “감세·추경등 민생 경제 전념”
노무현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의 ‘대연정’ 협상이 결렬됨에 따라, 여야가 후속 전략 마련에 들어갔다.
열린우리당은 노 대통령의 해외 순방과 추석 연휴, 국정감사 등의 일정 때문에 당분간 ‘숨고르기’ 국면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면서도, 당 정치개혁특위를 중심으로 선거구제 개편에 힘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문희상 의장은 8일 정책의원총회에서 “상생과 통합의 정치로 나서야 하고, 그 첫째가 지역구도 타파”라며 “이는 정치개혁특위에 당력을 모아 추진해 나갈 과제”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이 연정론 ‘종식’을 선언했지만, 선거구제 개편을 통한 지역구도 극복이라는 연정 제안의 ‘목표’는 남아 있으니 한나라당을 계속 압박하겠다는 뜻이다.
그러나 정장선 의원 등 당내 일부에선 “대연정 논란을 중단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당내 논란이 예상된다. 정기국회에서 선거구제 개편 논의에 얼마나 비중을 둘지, 당내 합의를 어떻게 이끌어낼지 등에 대한 논의는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지적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이날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민평련)가 모임을 여는 등 각 정파들도 대응 방안을 놓고 내부 토론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 핵심 당직자는 “연정에 대한 당내 인식의 편차가 크지만, 연정 문제 보다는 선거구제 개편 방안에 논의를 집중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박 대표가 연정론에 쐐기를 박았다고 자평하면서, 민생 챙기기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내부적으론 노 대통령의 ‘다음 수순’에 대비하는 움직임도 보였다.
강재섭 원내대표는 이날 당 상임운영위에서 “노 대통령은 이제 대연정이든 소연정이든 연정 논의에 막을 내려야 한다”며 “한나라당은 텔레비전 토론 등 연정에 대한 논의에 일체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대신 감세와 추경 편성 등 민생·경제 문제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으로 한나라당은 노 대통령의 다음 카드를 나름대로 점치며, 대책 마련에 나섰다. 유승민 대표 비서실장은 “대통령이 ‘그거 아니면 이거라도’ 하는 식으로 계속 나오지 않겠느냐”며 “지금부터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고 말했다. 임태희 원내수석부대표는 “당내 ‘통합과 미래를 위한 특위’에서 앞으로의 대비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지은 황준범 기자 jieuny@hani.co.kr
이지은 황준범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