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론 전면 내세웠으나
“여당보다 못한 인상”
‘새정치’ 한계에 주춤
참사거론 경계 분위기도 한몫
“여당보다 못한 인상”
‘새정치’ 한계에 주춤
참사거론 경계 분위기도 한몫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세월호 참사 뒤 내세운 ‘세월호 책임론’은 야권 지지층의 결집을 이끌어냈지만, 애초 예상됐던 투표율 60%에는 이르지 못했다.
세월호 참사는 박근혜 정부의 일방주의적인 국정운영에 분노한 야권 지지층의 심판 심리를 만들어내는 계기가 됐지만 세월호 참사 피해자들이 있는 경기와 인천 광역단체장 선거는 새누리당이 승리했다.
최원식 새정치연합 전략기획위원장은 5일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선거에서 어려웠던 것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당신들은 책임 없냐’는 반응이었다. 세월호 책임론에 대해 조심스러웠고 정치적으로 이용할 문제는 아니었다”며 그 이유를 밝혔다. 새정치연합 다른 당직자는 “세월호 책임론이 국민들에게 잘 안 받아들여진 것 같다”고 인정했다.
새정치연합의 ‘세월호 책임론’이 지방선거 과정에서 유권자들의 동의를 적극적으로 받지 못한 이유는 책임의 대상을 묻는 과정에서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였기 때문이다. 김종배 시사평론가는 “세월호 참사 책임에 대해 심판하려면 무엇을 통해서 어떻게 할지 분명해야 한다”며 “선거는 심판을 대행하는 세력을 찍어주는 것인데 새정치연합이 그 대상으로 제대로 인식되지 못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새정치연합은 정부의 초동대처 미흡을 지적하며 대통령과 여당의 책임을 묻는 동시에 “국정운영의 한 축으로서 정부 여당과 최대한 협력하겠다”, “여야 정치인 모두 죄인이다”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대통령에 대한 심판’이라는 구도를 피하려 중앙당 차원에서는 ‘세월호 심판론’이라는 말보다 ‘세월호 책임론’을 앞세우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박근혜 대통령 책임’이란 등식에 공감하지 않는 보수·중도층을 자극하지 않겠다는 의도였지만 결과적으로 새정치연합이 말하는 ‘세월호 책임’의 대상이 불분명해졌다는 지적이다. 김종배 평론가는 “표심의 틈을 비집고 들어간 것은 오히려 ‘대통령 구하기’를 내세운 여당이었다”고 말했다.
세월호 책임론에 따라 당 차원에서 ‘국민안심선대위’라는 이름과 ‘조용한 선거’, ‘공감하는 선거’를 앞세웠지만 그 탓에 쟁점을 만드는 데도 실패했다. “실수만 하지 말자”는 모습만 보였다는 지적이다. 당 차원에서 ‘손과 발이 따로 노는’ 것도 문제로 계속 제기된다. 선거 막바지 접전지역의 선거지원 요청은 중앙당의 ‘교통정리’보다 새정치연합 개별 의원들 사이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주로 이뤄졌다는 게 당 안팎의 이야기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