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14일(현지시각)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 격퇴를 위한 미국 주도의 국제연합작전 동참 여부에 대해 “우리 나름대로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할 것이며, 아마 인도적 지원 범위가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워싱턴 인근 덜레스 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특파원들과 만나 이렇게 밝혔다. 그는 “현재까지 이라크 난민 지원 등 여러 가지 도움을 주는 데 국가 차원에서 120만달러(약 12억4000만원)를 이미 지원한 바 있으며, 앞으로 추가적인 검토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수송이나 병참 지원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요청받은 바가 없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시기 재연기 문제와 관련해 “전작권 이양 문제는 지난해부터 계속 협의를 해오던 사안이기 때문에 올해 한-미 안보협의회(SCM)를 목표로 협의가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 양국은 다음달 말 워싱턴에서 한-미 안보협의회를 열어 전환 시기를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 도입 여부와 관련해선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공식 통보된 바 없고, 한-미 간에 협의된 바도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실장은 이번 방문 목적에 대해 “국가안보실장 부임 후 미국의 카운터파트인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소통의 장을 만들 필요가 있어 접촉하게 됐다”며 “북핵문제와 한미동맹 등 여러 현안과 더불어 동북아 및 글로벌 이슈 등 공통의 관심사에 대해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라이스 안보보좌관 이외에도 국무부·국방부 고위 관리, 싱크탱크 전문가들, 전직 한미연합사령관들을 만난 뒤 17일 귀국한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