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 자원외교 진상조사위 밝혀
회사 보유 땅·시설 가치 0원 드러나
“거액 국민혈세 유출 진실 규명해야”
회사 보유 땅·시설 가치 0원 드러나
“거액 국민혈세 유출 진실 규명해야”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인 해외자원개발 부실사업으로 평가받는 캐나다 유전개발업체 하베스트의 자회사 ‘날’(NARL)을 한국석유공사가 투자금액(2조원)의 1% 수준인 200억원가량에 매각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새정치민주연합이 13일 밝혔다.
새정치연합 ‘엠비(MB)정부 국부유출 자원외교 진상조사위원회(진상조사위)’ 노영민 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하베스트의 정유회사인 ‘날’이 미국계 상업은행인 실버레인지에 사실상 200억 안팎으로 매각된다”고 말했다. 석유공사는 2009년 매입 당시 1조1000억원에 ‘날’을 인수했으며, 이어 5년 동안 인수 후 추가 시설 투자에 4763억원, 운영비 손실 5830억원 등 총 1조56억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했다. 이번 매각대금은 인수금액 기준으로는 2%, 투자 기준으로는 1% 수준의 가격에 팔리는 셈이다.
진상조사위에 따르면 매각 과정에서 석유공사는 ‘날’이 보유한 땅(191만4천㎡, 58만평)과 기존 시설물에 대한 가치가 0원으로 평가됐다고 노 위원장은 전했다. 해당 부지는 지난 2월 한 전문평가기관으로부터 77억원(700만달러)으로 평가된 바 있다. 또 ‘날’의 부채 6억6000만달러(약 7233억원)도 떠안기로 했다고 새정치연합은 밝혔다. 노 위원장은 “매입 이후에도 4억달러 이상의 투자를 추가한 시설물에 대한 가치가 고철덩어리보다 못하다는 것을 매각·매입 양쪽이 인정했다는 것으로, 충격적”이라고 비판했다.
하베스트 ‘날’ 인수는 매입 당시부터 논란이 된 사업이다. 하베스트에서 당시 부채를 떠안고 있던 정유회사 ‘날’을 인수하지 않으면 하베스트를 팔지 않겠다며 ‘끼워팔기’식으로 계약조건을 바꿔 제안했는데, 석유공사가 이를 수용했다. 진상조사위는 “당시 이명박 정부가 단기적 성과에 급급해 자주개발률을 강조했고, 공기업들이 실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며 “이명박 정권의 정책적 목적에 공기업이 발맞추다 보니 이런 있을 수 없는 국부유출이 이뤄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하베스트 사업은 ‘이명박 전 대통령 집사’로 불리던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의 아들인 김형찬씨가 서울 지점장으로 근무하던 메릴린치의 자문을 받아 특혜 의혹을 받고 있기도 하다. 노 위원장은 “엠비 정권의 실세였던 김백준 총무비서관의 아들이 재직중인 메릴린치의 자산 가치 과대평가 등 전 정권의 실세가 개입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진상조사위는 이날 국정조사 실시를 거듭 촉구했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