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국회의장·존 베이너 하원의장, 워싱턴 의사당에서
“동북아 100년 평화 위한 한반도 비핵 평화통일 결의문 추진 계획”
“동북아 100년 평화 위한 한반도 비핵 평화통일 결의문 추진 계획”
한국과 미국 의회는 4일(현지시각)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맞아 동북아의 100년 평화와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 상호 노력하자는 내용이 담긴 공동 결의문 채택을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워싱턴 의사당에서 열린 존 베이너 하원의장과의 회담에서 이렇게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회담에서 “종전 70주년은 미완의 종전”이라며 “동북아 내에서 과거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보다는 미래를 위한 협력을 강화해야 하고 북핵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를 위해 대한민국 국회는 동북아 100년 평화를 위한 협력과 역사인식, 한반도 비핵 평화통일을 위한 결의문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미국 의회도 함께 결의문을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에 베이너 의장은 “훌륭한 생각”이라며 “함께 추진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정 의장은 전했다.
두나라 의회 수장이 뜻을 함께 함에 따라 결의문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방식은 한국 국회가 먼저 결의안을 통과시키면, 이를 미국 의회에 소개해 초당파적 지지를 모아 통과시키는 순서로 진행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정 의장은 또 오는 4월 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미 상·하원 합동연설 추진과 관련해 베이너 의장에게 당부의 말을 전했다. 정 의장은 “과거사에 대한 진정한 사과와 그에 따른 행동이 함께할 때 함께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에 아베 총리가 미 의회에서 연설을 하게 된다면 이제 일본도 이번 연설을 계기로 해서 과거 침략사의 족쇄에서 벗어날 수 있는 그런 내용이 됐으면 좋겠다. 그렇게 해서 한·미·일이 미래로 함께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베이너 의장은 답변은 하지 않은 채 긍정의 뜻으로 고개만 끄떡였다고 정 의장은 전했다.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연설 초청 권한은 전적으로 베이너 의장에게 있다.
아직 아베 총리의 의회 연설 여부는 마지막 결정 단계에 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미 하원 친한파 의원들은 아베 총리의 의회 연설이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기정사실화해 가려고 하는 움직임에 불쾌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의장은 이날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과 맷 새먼 외교위 아·태소위원장, 찰스 랭글, 마이크 혼다 의원 등과 오찬을 함께 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길정우 의원(새누리당)은 “이런 문제를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기정사실화해 가려고 하는 움직임에 대해서 많은 불만을 갖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전했다.
한 의원은 면담에서 “연설을 하든 안하든 아베 총리의 역사인식 문제점, 즉 아베 총리의 인식이 동북아 평화 안정에 문제가 된다는 것을 반드시 짚고 넘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한다. 2007년 미 하원의 위안부 결의안 통과를 주도한 혼다 의원은 “아베 총리의 미 의회 연설에 반대한다”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총리의 공식적인 사과가 없었고, 또 미국 역사교과서의 위안부 관련 기술을 수정하려는 움직임에 엄중하게 항의하는 두 가지 차원에서 반대한다”고 밝혔다.
워싱턴/박현 특파원 hyun2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