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훈 연금개혁분과위원
[인터뷰] 야당쪽 이병훈 위원
‘공무원연금 개혁을 위한 국민대타협기구’(대타협기구)가 활동 종료 하루를 앞둔 27일 공무원연금 개편의 기본 틀에 합의했다. 그동안 협의를 주도해온 여야 추천위원에게 이번 합의의 의미와 전망을 들어본다.
더 내되, 덜 깎는 쪽으로
공적연금 강화도 합의 필요 그는 <한겨레>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김 교수가 새누리당과 정부의 안을 만드는 데 깊숙이 관여한 분인데 타협 차원에서 제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의 안은 신규자와 재직자를 분리하지 않겠다는 야당의 요구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또 김 교수가 제시한 기여율 10%와 지급률 1.65%라는 수치도 야당이 제시한 기여율 9~10%, 지급률 1.7~1.9%와 비교적 차이를 줄였다. 이 위원은 “연금개혁분과위원회 입장에서는 공무원들이 더 많이 내되 받는 돈은 덜 깎는 게 바람직하다고 보고, 이후 협상의 여지를 남기기 위해서도 그렇게 가닥을 잡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위원은 ‘김용하 교수 안’ 역시 대타협에 이르기 위한 여러 안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김 교수 안은 정부·새누리당·김태일 고려대 교수·야당·공무원단체가 각각 제시한 안 중의 하나로 앞으로 검토와 논의를 계속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공적연금 강화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날 오전 공적연금 강화를 위한 공동투쟁본부(공투본) 등 공무원단체는 “더 내는 방향으로 고통분담을 감수할 수 있지만, 소득대체율은 현행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 위원은 “노후소득 보장을 재정적인 문제로만 접근하는 방식은 옳지 않다. 공적연금 강화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며 “현재 공적연금의 노후소득 보장이 취약한 것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타협이 되어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승준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