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병역·친일파·사생활” 등
네이버밴드·카톡 통해 확산
새정치 “새누리 보좌관 유포 확인”
총선앞 ‘박원순 때리기’ 판단
“김무성 대표 입장표명 요구”
박 시장도 “최초 유포자 밝혀달라”
경찰에 고발 강경대응
네이버밴드·카톡 통해 확산
새정치 “새누리 보좌관 유포 확인”
총선앞 ‘박원순 때리기’ 판단
“김무성 대표 입장표명 요구”
박 시장도 “최초 유포자 밝혀달라”
경찰에 고발 강경대응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 유포되고 있는 ‘박원순 악성루머’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이 “배후는 새누리당”이라고 지목하며 유포자들에 대한 수사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박원순 서울시장 역시 허위사실의 최초 작성자와 유포자를 경찰에 고소하는 등 강경대응에 나섰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의 ‘박원순 때리기’가 시작됐다는 게 새정치연합의 판단이다.
새정치연합 서울시당의 ‘박원순지키기특별대응팀’(대응팀) 소속인 박홍근 의원은 6일 기자회견을 열어 “새누리당 일각의 박 시장에 대한 악랄한 정치공작을 강력히 규탄한다. 무차별적인 허위사실 생산과 유포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김무성 대표의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새정치연합이 괴담의 배후로 새누리당을 지목한 것은 2012년 “문제가 없다”고 결론이 난 박 시장의 아들 박주신씨의 병역 문제를 보수단체와 새누리당이 최근 다시 제기한 데 이어 “박 시장의 아버지가 친일파다”, “박 시장의 사생활에 문제가 있다”는 확인되지 않은 괴담이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트위터·페이스북 등의 에스엔에스로 무차별로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수단체인 미래희망여의도포럼 회원들은 최근 박 시장을 비롯해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 안철수 의원 등 야권 유력주자의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친일파’라는 확인되지 않은 글을 ‘네이버 밴드’ 등을 통해 공유해 논란이 됐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과거 명예총재를 맡기도 한 이 단체는 “박 시장의 아버지가 일제시대 ‘보국대’의 일원으로 친일을 했다”는 글을 유포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시장 쪽은 “보국대는 강제징용으로 끌려간 피해자들이 간 곳인데 마치 가해자인 것처럼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새정치연합이 특히 새누리당이 관여했다고 보고 있는 것은 5일 카카오톡을 통해 퍼진 “박 시장과 가족의 사생활이 문제가 있다”는 글이다. 대응팀은 “새누리당 한 의원실의 보좌관이 유포한 것으로 확인했다”며 “모두 명백한 허위사실이며 악의적인 정치공작”이라고 밝혔다. 해당 의원실 쪽 관계자는 “다른 의원실 사람한테 글을 받아서 아는 사람에게 보내준 것일 뿐, 해당 글을 작성하거나 의도적으로 퍼뜨린 것은 절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박 시장 쪽은 새누리당과 보수단체의 ‘박원순 때리기’가 시작됐다고 판단하고 법적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천준호 서울시 정무보좌관은 “메르스 사태 이후 박 시장의 지지율이 올라갈 무렵인 지난 6월부터 인터넷 괴담이 급증했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라는 의심을 갖고 있다. 처음엔 관용을 베풀려고 했으나 이젠 도를 넘어섰다는 판단이 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지난 4~5일 “괴담 최초 작성자와 유포자를 밝혀달라”고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했다.
새정치연합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고 있고 호감도가 높은 야권의 차기 대선 주자에게 새누리당이 흠집을 내겠다는 의도로 보고 있다. 박홍근 의원은 “내년 총선과 대선을 염두에 둔 새누리당이 서울과 수도권에서 상징성을 가진 박 시장을 때리려는 명백한 의도로 보인다”며 “어제(5일) 괴담 유포를 확인하고 더이상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8월31일 김용태 새누리당 서울시당 위원장이 “내년 총선은 박원순 시장과의 싸움”이라고 밝힌 데 이어 국회 국정감사에선 새누리당 의원들은 박 시장 공격에 화력을 집중했다. 6일 새누리당 가뭄극복 민생현안대책회의 참석자들 또한 최근 박 시장이 발표한 서울시 정책들에 대해 “홍보정치를 그만두라”며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여당 쪽에서 너무 박원순 시장에 대한 두려움이 많은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이승준 김남일 음성원 기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