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 시한 나흘앞 여야 접점 못찾아
‘비례 축소-권역별 비례’ 빅딜 가능성
‘비례 축소-권역별 비례’ 빅딜 가능성
내년 4월 치러지는 20대 총선의 선거구를 정하기 위한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선거구 획정 법정 시한(11월13일)을 코앞에 두고도 재가동을 못하고 있다. 8일 오후 여야 원내대표와 수석부대표 등이 머리를 맞댔지만 성과 없이 “조만간 다시 논의하자”는 선에서 자리를 마쳤다.
현재 새누리당은 지역구 의석을 현행 246석에서 252석으로 늘리는 대신 비례대표를 현행 54석에서 6석 줄이는 안을 마련해놓은 상태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여당의 비례대표 감축안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정개특위에 참여하고 있는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비례 의석을 줄이고 지역구 의석을 늘리느니 차라리 인구 상하한선을 1만명 정도 높여 지금의 246개 지역구 의석수를 유지하는 게 낫다. 비례대표를 꼭 줄여야겠다면 우리가 제안한 권역별 비례대표제 실시를 조건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새누리당도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20대가 아닌 21대 총선부터 실시하는 방안이라면 논의 석상에 올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최근에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추진을 위한 국회 내 기구를 구성하거나 이 제도 도입을 위해 여야가 함께 노력한다는 문구를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부대의견으로 명기하는 안을 새정치연합에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기구 구성이나 부대의견 명기는 ‘부도수표’가 될 가능성이 농후해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조원진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협상 결렬 뒤 “오는 10일 양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정치개혁특위 간사가 만나 쟁점 등을 다시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여야 이견이 커 선거구 획정 작업이 연말까지 늦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여당 정개특위 관계자는 “이번 정기국회 회기는 12월9일까지이고 총선 예비후보 등록은 12월15일부터 시작한다. 회기 안에는 선거구가 결정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오는 15일로 끝나는 정치개혁특위 활동기간도 한달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김남일 이세영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