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투표제 등 의견 조율
친박근혜계 핵심인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국회 복귀가 초읽기에 들어간 가운데, 비박계 좌장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최 부총리가 정기국회 마지막날인 9일 밤 만나 당내 최대 현안인 공천룰을 2시간 넘게 조율했다. 이 자리에서 결선투표제 방식과 여론조사 반영 비율, 우선추천지역 등을 두고 폭넓은 논의가 이뤄졌는데, 공천룰 싸움에 앞서 양쪽의 입장을 확인하고 가이드라인을 정하는 ‘신사협정’ 성격이 짙어 보인다.
한 참석자는 10일 “공천룰 논의 상황에 대해 리뷰해보는 자리였다. 특히 결선투표 방식에 상당히 많은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최 부총리는 결선투표 기준으로 친박계가 주장해온 ‘과반 기준’(50% 미달 시 1·2위 결선투표)을 다시 언급하면서도, 결선투표 이전 단계에서 ‘일부 조건’을 가미해 조정하는 안을 제시했다고 한다. 결선투표 전에 후보를 3명 정도로 압축해 경선을 붙여 결선투표 실행을 최소화하는 안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와 최 부총리는 최근 황진하 사무총장이 위원장을 맡은 당 공천룰 특별기구에 각 계파의 ‘대리인’을 넣는 데도 공감했다고 한다. 최 부총리는 “여론조사에서 당원과 일반국민 비율을 5 대 5로 할지, 국민 비율을 더 높일지보다 더 중요한 것은 총선에서 이기는 것이다. 이 자리에서 모든 걸 결정하지 말고 공천룰 특별기구에서 충분히 논의하고 결정할 수 있는 환경을 (우리가) 만들어주자”고 말했다고 참석자는 전했다.
그동안 첨예하게 대립했던 여론조사 반영 비율과 결선투표 방식, 우선추천지역 등에 대한 의견 차이는 여전했지만 “공천룰 특별기구에서 지역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당을 시끄럽게 만들지 말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다만, 김 대표는 “비례대표나 지역구나 전략공천은 안 한다”며 ‘전략공천은 절대 없다’는 자신의 기존 입장을 강조했다고 한다.
이날 만남은 김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 관심법안 처리를 독려하기 위해 국회를 찾은 최 부총리에게 본회의가 끝난 뒤 만남을 제안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회동에는 이진복 김성태 김학용 김재원 의원이 동석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