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한인 유골실태 파악 협조요청 계획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봉환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실무협의가 오늘 29일 서울에서 열린다. 이번 협의에는 박준우 외교통상부 아시아태평양 국장과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참석한다. 한국은 이 자리에서 일본을 비롯해 중국, 러시아, 동남아 지역의 한국인 유골 실태 파악을 위한 일본의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28일 “현재로선 강제동원 희생자의 유골이 어디에 얼마나 있는 지 모르기 때문에 실태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일본 정부와 기업, 민간의 협조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지난 20일 비밀을 해제한 ‘재일본 한국인 유골 봉환’ 외교문서에는 2차대전 중 일본의 군인·군속으로 동원된 한국인은 24만2천여명이고, 이 가운데 2만2천여명이 숨진 것으로 돼 있으나, 일본 민간기업에 징용됐거나 군 위안부 등으로 끌려간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욱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유골 봉환 실무협의는 지난해 12월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일본에 남아 있는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노 대통령은 당시 광복 60주년이면서 한일 수교 40주년인 올해를 계기로 이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연합 moon@hani.co.kr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봉환을 위한 한국과 일본의 실무협의가 오늘 29일 서울에서 열린다. 이번 협의에는 박준우 외교통상부 아시아태평양 국장과 사사에 겐이치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이 참석한다. 한국은 이 자리에서 일본을 비롯해 중국, 러시아, 동남아 지역의 한국인 유골 실태 파악을 위한 일본의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28일 “현재로선 강제동원 희생자의 유골이 어디에 얼마나 있는 지 모르기 때문에 실태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선 일본 정부와 기업, 민간의 협조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지난 20일 비밀을 해제한 ‘재일본 한국인 유골 봉환’ 외교문서에는 2차대전 중 일본의 군인·군속으로 동원된 한국인은 24만2천여명이고, 이 가운데 2만2천여명이 숨진 것으로 돼 있으나, 일본 민간기업에 징용됐거나 군 위안부 등으로 끌려간 사람들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욱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유골 봉환 실무협의는 지난해 12월 노무현 대통령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정상회담에서 일본에 남아 있는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골 문제를 원만히 해결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노 대통령은 당시 광복 60주년이면서 한일 수교 40주년인 올해를 계기로 이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유강문 기자, 연합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