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불로 번져가는 촛불 민심을 온 누리가 목도하고 있다. 분노한 시민들의 평화롭고도 단호한 ‘박근혜 퇴진’ 외침을 이제 정치권이 받아안을 차례다. 12월이 시작되는 이번주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절차는 물론 특별검사 임명, 국정조사 일정이 숨가쁘게 이어질 터여서 나라와 정치권의 명운을 가를 ‘격동의 한 주’로 역사에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촛불의 경고를 외면해온 박 대통령은 탄핵 절차를 눈앞에 두고 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30일까지 공동으로 탄핵소추안을 마련하고, 같은 날 야 3당 원내대표가 모여 탄핵안 발의 시점을 결정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비박계의 탄핵 찬성표가 충분히 확보될 경우 이르면 30일 발의→12월1일 국회 본회의 보고→2일 본회의 표결이 이어질 전망이다.
새누리당 비박계 중심의 비상시국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열어 당내 탄핵안 찬성표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야당의 탄핵 추진 일정에 조건 없이 동참하기로 했다. 다만 비상시국위원회 대변인 격인 황영철 의원은 “12월2일은 많은 안건이 있어 적절치 않다”고 말해, 9일 처리에 무게를 뒀다.
탄핵안 처리는 야권 판단에 따라 12월9일로 미뤄질 수도 있으나, 특별검사·국정조사 일정은 이번주 본격 시작된다. 민주당·국민의당이 29일 특검 후보자 2명 추천서를 청와대에 보내면, 박 대통령은 12월1일까지 이 가운데 한 명을 임명해야 한다. 임명 즉시 특검은 90일(30일 연장 가능)간의 수사에 들어간다. 이에 앞서 박 대통령이 검찰 통보 시한인 29일까지 대면조사를 받을지도 관심사다. 검찰은 박 대통령에 대해 직권남용·공무상기밀누설·강요 혐의에 이어 뇌물죄 적용까지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국회 국정조사도 오는 30일 ‘최순실 국정농단’에 연루된 문화체육관광부·법무부·국민연금관리공단 등을 대상으로 1차 기관보고에 들어간다.
새누리당 내부적으로도 28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논의하는 주류·비주류 중진 6인회동이 열리는 등 탄핵안 처리 일정이 다가올수록 내분도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