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국무총리가 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수서역에서 열린 수서고속철도 개통식에서 축사를 마치고 무대를 내려오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표결을 하루 앞둔 8일 국무총리실은 팽팽한 긴장감 속에서도 큰 동요 없이 일상 업무를 이어갔다. 총리실 관계자는 권한대행 체제 준비 상황과 관련한 질문에 “탄핵안 가결을 전제로 이후 상황을 거론하는 건 지금으로선 부적절하다”며 말을 아꼈다. 다만 내부적으론 2004년 3월12일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의 상황에 준해 대응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교안 총리도 이날 예정된 일정을 소화했다. 황 총리는 오전 8시30분께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4차 총리-부총리 협의회를 주재했다. 앞서 정부는 박 대통령 퇴진 촉구 1차 촛불집회가 열린 10월29일 황 총리 주재로 국무위원 간담회를 열어, 국정 현안을 차질 없이 챙기겠다며 매주 월·목요일 두차례 협의회를 열기로 했다.
황 총리는 이날 협의회에서 “내일(9일) 예정된 국회의 탄핵 표결 등 여러 가지 정치 상황으로 국정의 불확실성이 크고 어느 때보다 엄중한 상황”이라며 “내각은 흔들림없이 주어진 소임에 매진해 달라”고 강조했다. 황 총리는 오후엔 서울 강남구 수서역에서 열린 수서고속철도 개통식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국회가 탄핵안 표결에 나서는 9일 황 총리는 외부 일정 없이 정부서울청사 9층 집무실에서 국회의 표결 과정을 지켜볼 예정이다.
탄핵안이 가결되면, 박 대통령이 지난 11월2일 지명한 김병준 총리 후보 내정자도 자연인으로 돌아가게 된다. 김 내정자는 내정된 날부터 서울 통의동 금융연수원에 마련된 사무실로 출근해 총리실 직원들로부터 업무현황 보고를 받은 뒤 특별히 하는 일은 없는 상태다. 총리실 직원 3명이 기약도 없는 인사청문회 준비를 도와왔다. 김 내정자는 지난달 21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되면 내정자 신분은) 당연히 자동 소멸되고 황 총리 체제가 그대로 간다면 황 총리께서 직무대행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헌정 사상 최장인 38일간의 ‘내정자’ 신분을 기록하게 됐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정부는 지난 7일 기준으로 김 내정자에게 사무실·집기 임차료 등 총 850만4000원을 썼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