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 전 청외대 민정수석이 2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5차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를 들으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군대 내 사조직 ‘알자회’의 배후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라는 의혹을 폭로했다.
22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5차 청문회’에서 박 의원은 우 전 수석에게 “조현천 기무사령관 등에게 지시를 내려 권 아무개, 신 아무개 두 대령의 장성 진급을 지시한 적이 있다. 그런데 이것이 이뤄지지 않자 장준규 육군참모총장이 조 기무사령관에게 죄송하다고 한 적이 있다. 모르셨냐”고 추궁했다. 우 전 수석은 “그 사람은 대령 승진을 하지 못했을 텐데요”라고 답했다.
이어 박 의원은 한 제보자와의 통화를 공개했다. 해당 통화에는 “알자회가 하나회처럼 살아났다. 우병우가 민정수석실에서 딱 다 봐줬다”는 제보자의 음성이 담겼다. 우 전 수석은 이 음성을 듣고 “민정수석실은 인사 검증을 했을 뿐”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박 의원은 해당 인물들의 이름을 차례로 거론하며 “군대 내 사조직이 있어선 절대 안 되는 것 아닌가”라고 물었고, 이에 우 전 수석은 “그렇다”고 답했으나 “지금 말하는 몇몇 분들 중 개인적으로 아는 분은 없다”며 의혹을 부인했다.
한편, 우 전 수석은 국방부 방위사업청(이하 방사청) 고위 공무원 2명을 강제 퇴직시켰다는 21일
〈한겨레〉의 보도에 대해서도 자신이 관여한 바 없다고 답했다. 박 의원이 “진양현, 김혁중 두 사람도 우 수석이 찍어낸 것이 아니냐” 질의를 받고도 “찍어낸 것 아니다”라고 답했다. 다만 신설 방위사업감독관으로 조상준 전 부장검사를 임명한 것은 인정했다.
알자회는 12·12 쿠데타를 주도했던 군내 사조직 ‘하나회’의 뒤를 이은 육군사관학교 출신들의 사조직으로 육사 34기부터 43기까지 120여명이 속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지숙 김규남 송경화 기자
suoo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