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난달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관한 의원들의 질의 도중 머리를 만지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의 핵심 인물로 꼽히고 ‘적군리스트’ 작성까지 관여한 것으로 드러난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대해 청문회 출석을 요구하는 동행명령장이 발부됐다. 이 명령장 집행에는 이례적으로 국회의원 3명이 동참했다.
9일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7차 청문회’에서 김성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정동춘 전 케이스포츠 이사장과 남궁곤 전 이화여대 입학처장 등 증인 2명과 참고인으로 나온 노승일 케이스포츠 부장에 대한 심문에 앞서 조윤선 장관에 대한 동행명령장을 발부했다. 또 김 위원장은 “핵심 증인에 대해 위원회는 단호한 의지를 가지고 출석시키겠다는 입장”이라며 이용주 국민의당 의원과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 등 세 명을 국회 경호관과 함께 명령장 집행에 동행하도록 했다.
조 장관은 20명에 달하는 7차 청문회 증인 중 한명으로 채택됐으나 대다수의 증인들과 마찬가지로 불출석 사유서를 내고 청문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도종환 의원이 공개한 조 장관의 불출석 사유를 보면 “국회에 출석해서 사실대로 증언했고 오늘 출석해 재차 동일한 진술을 하면 (위증에 대한) 가중처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다른 증언을 하면 (자신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요하는 것이기 때문에 출석할 수 없다”고 되어 있다.
이어 현직 국무위원인 조 장관이 국회의 청문회 출석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는 의원들의 비판이 빗발쳤다. 이용주 국민의당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에서 “고위공직자로서 모범을 보여야 하는데도 출석하지 않았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조윤선 장관을 즉각 문체부 장관직에서 해임하라”고 요구했다. 하태경 바른정당 의원은 “조 장관은 불출석 사유서로 본인의 위치가 장관이 아니라 피의자라는 것을 스스로 고백하고 있다. 만약 장관으로서 업무를 수행한다면 블랙리스트 진실 규명에 앞장서고 청문회에 나와 책임 있는 발언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7차 청문회에서 조윤선 문체부장관의 자리 등이 비어 있다. 이날 청문회에는 증인으로 정동춘 전 K스포츠재단 이사장, 남궁곤 이화여대 교수가 참고인으로는 노승일 K스포츠재단 부장만 출석했다. 연합뉴스.
블랙리스트 연루 의혹도 계속 쏟아졌다.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에서 “조 장관은 국정감사를 비롯, 국회에서 37번에 걸쳐 위증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2015년 5월 만들어졌다는 문체부 대외비 문건을 들고 “문건을 보면 주요 조치 실적에 329건을 배제 조치했고, 9473건의 개인 자료를 관리했다는 내용이 상세하게 적혀있다”고 폭로했다. (
▶관련 기사 : [단독] 조윤선 수석실, 문화계 ‘적군리스트’ 만들어 특별관리)
이에 조윤선 장관은 동행명령장이 발부되고 나서야 뒤늦게 오후에 청문회에 출석하겠다고 특위에 약속했다. 조 장관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정부청사에서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오후 2시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전국 박물관·미술관인 신년교례회에 참석하기로 되어 있었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