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리서치플러스 7~8일 여론조사
홍준표 6.6% 유승민 2.1% 심상정 2.0% 김종인 0.4%
안 후보 3주만에 20.2%p 올라…보수층, 홍·유 대신 ‘안’ 쏠림
2012년 대선때 박근혜 투표층의 51.9% ‘안철수’ 선택
4자 대결선 안 37.4% 문 35.8% 홍 10.5% 심 2.6%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가 7일 오후 경기 평택시 공군작전사령부를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평택/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의원이 9일 오후 전남 목포 목포신항 세월호 거치 현장을 둘러본 뒤 항만 철조망에 세월호 추모리본을 묶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9대 대통령 선거가 30일 앞으로 다가온 9일,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5당 후보 가상 대결에서 37.7% 대 37.7%로 지지율이 동일한 것으로 나왔다.
<한겨레>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여론조사 기관인 리서치플러스에 의뢰해 지난 7~8일 전국 성인남녀 102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21.4%)
조사 결과를 보면, 5당 후보와 무소속 김종인 전 의원을 포함한 6명 가운데 ‘누구를 가장 지지하느냐’는 물음에,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가 각각 37.7%로 똑같이 나왔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6.6%,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2.1%, 심상정 정의당 후보 2.0%로 나타났다. 김종인 전 의원은 0.4%에 그쳤다. 지지 후보가 없다는 답변 6.7%, 모름·무응답이 6.8%다.
최근 안 후보의 지지율 상승세가 여러 기관의 여론조사들에서 나타났으나, 5~6자 구도에서 문·안 두 후보의 지지율이 똑같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3월17~18일 <한겨레>·리서치플러스 조사와 견줘 문 후보는 1.4%포인트 하락한 반면 안 후보는 20.2%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지난 조사에서,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찍었다는 응답자 가운데 18.4%만이 안 후보를 지지했으나 이번 조사에선 51.9%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보수 정당의 홍준표·유승민 후보가 부진하며 갈 곳을 잃은 보수층 유권자들이 안 후보를 이른바 ‘보수의 대안’으로 생각하고 옮겨오는 흐름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번 <한겨레> 조사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와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등이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하는 가상 대결에선 안 후보가 문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홍준표·유승민 후보가 홍준표 후보로 단일화했을 경우 4자 가상 대결에서 안철수 후보(37.4%)가 문재인 후보(35.8%)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경우 홍준표 후보는 10.5%에 그쳤다. 심상정 후보는 2.6%다.
안철수·유승민 후보가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했을 경우 4자 가상 대결에서는 안철수 후보(42.3%)와 문재인 후보(37.2%)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홍준표 후보는 7.9%, 심상정 후보 2.5%다. 안철수·홍준표·유승민 후보가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했을 때의 3자 대결에서는 안철수 후보 47.4%, 문재인 후보 38.5%, 심상정 후보 2.7%로 나타났다.
문재인·심상정 후보가 문재인 후보로 단일화하고, 안철수·홍준표·유승민 후보가 안철수 후보로 단일화했을 경우를 가정한 양자 가상 대결에서도 안철수(48.2%) 후보가 문재인 후보(41.8%)를 6.4%포인트 격차로 우위를 보였다.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정책센터장 센터장은 문재인-안철수 양강구도에 대해 “안철수 후보가 컨벤션 효과(후보 확정 뒤 지지율 상승)에다, 안희정 충남지사 지지층과 자유한국당·바른정당 지지층 등 중도보수층을 흡수했다. 2012년 대선 때의 박근혜 투표층 또한 안 후보에게 결집하는 모습이다”라며 “사실상 진보 후보 문재인 대 보수 후보 안철수의 대립구도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이번 조사 어떻게 했나
조사기관: 리서치플러스
일시: 2017년 4월7~8일
대상: 전국 만 19살 이상 남녀 1023명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임의전화걸기(무선 46%, 유선 54%) 방식의 전화면접
오차보정방법: 2017년 3월말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성·지역·연령별 가중값 부여
응답률: 21.4%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